2021 1회
Q. 물리 네트워크(MAC) 주소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알려주는 프로토콜로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
RARP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IP 호스트가 자신의 물리 네트워크 주소(MAC)는 알지만, 논리적인 주소인 IP 주소를 모르는 경우, 서버로부터 IP 주소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 네트워크 계층(3계층) 프로토콜에는 IP, ARP, RARP, ICMP, IGMP, 라우팅 프로토콜이 있다.
- IP(Internet Protocol)
- 송수신 간의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네트워크상에서 IP 주소를 MAC 주소(물리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 RARP(Reverse Address Protocol)
- IP 호스트가 자신의 물리 네트워크 주소(MAC)는 알지만 IP 주소를 모르는 경우, 서버로부터 IP 주소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P 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알려주는 프로토콜
- 메시지 형식은 8bit의 헤더와 가변길이의 데이터 영역으로 분리
- 수신지 도달 불가 메시지는 수신지 또는 서비스에 도달할 수 없는 호스트를 통지하는 데 사용
- ICMP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ping 유틸리티의 구현을 통해 오류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
-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은 호스트 컴퓨터와 인접 라우터가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십을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 화상회의, IPTV에서 활용되는 프로토콜
- IGMP 기능에는 그룹 가입, 멤버십 감시, 멤버십 응답, 멤버십 탈퇴가 있음
-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 데이터 전송을 위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여러 경로 중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주는 라우터 간의 상호 통신 프로토콜
- IP(Internet Protocol)
OSI 7계층은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에서 발표한 네트워크 표준 모델로써 네트워크 통신의 각 과정을 계층별로 개념화한 모델이기에 각 계층의 구간별로 데이터의 움직임을 알 수 있고, 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을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됨
[1계층] 물리 계층 : 전선, 전파, 광섬유, 동축케이블, 도피관, PSTN, DSU, CSU, Modem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Ethernet, ToKen Ring, PPP, HDLC, ISDN, ATM
[3계층] 네트워크 계층 : IP, ARP, RARP, ICMP, IGMP, 라우팅 프로토콜
[4계층] 전송 계층 : TCP, UDP, RTCP, SCTP, SPX
[5계층] 세션 계층 : TLS, SSH, ISO 8327 / CCITTX225, RPC, NetBIOS
[6계층] 표현 계층 : JPEG, MPEG, XDR, ASN1, SMB, AFP
[7계층] 응용 계층 : HTTP, SMTP, SNMP, FTP, Telnet, SSH&SCP, NFS, RTSP
Q. 다음은 DB 설계 절차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물리적 설계,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 ( ① )은/는 특정 DBMS의 특성 및 성능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 저장 구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결과로 나오는 명세서는 테이블 정의서 등이 있다.
- ( ② )은/는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적으로 표현하여 개념적 구조를 도출하는 과정으로 주요 산출물에는 E-R 다이어그램이 있다.
- ( ③ )은/는 목표 DBMS에 맞는 스키마 설계, 트랜잭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정규화 과정을 수행한다.
[보기]
구현 /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요구사항 분석 / 물리적 설계
- DB 설계 절차에는 요구사항 분석,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구현이 있다.
- 요구사항 분석
- 사용자에게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용도를 파악함
- 다양한 요구사항을 수집하는 단계로 요구사항 명세서를 작성함
- 개념적 설계
- 요구사항 명세서를 기반으로 개념적 데이터 모델을 표현하며 E-R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할 수 있음
- 논리적 설계
- 목표 DBMS에 맞는 스키마 설계, 트랜잭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정규화 과정을 수행함
- 물리적 설계
- 특정 DBMS의 특성 및 성능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 저장 구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결과로 나오는 명세서는 테이블 정의서 등이 잇음
- 구현
- SQL 문을 실행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실제로 생성함
- 요구사항 분석
Q. 다음은 요구사항의 분류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 ) 안에 들어갈 요구사항의 유형에 대해서 쓰시오.
기능(적), 비기능(적)
- ( ① ) 요구사항은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이다.
- ( ② ) 요구사항은 시스템이 수행하는 기능 이외의 사항, 시스템 구축에 대한 제약사항에 관한 요구사항이다.
- 요구사항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기능적 요구사항
- 시스템에서 제공해야 할 기능,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
- 특정 입력에 대해 시스템이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술
- 특정 상황에 대해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술
- 기능성, 완전성 일관성
- 온라인 홈페이지에서는 쇼핑카트에 주문하고자 하는 품목을 저장할 수 있는 장바구니 기능을 제공해야 함
- 상품의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무통장 입금, 포인트 결제가 가능해야 함
- 입력기능, 출력기능, 데이터베이스 기능, 통신 기능 등
- 비기능적 요구사항
- 시스템이 수행하는 기능 이외의 사항, 시스템 구축에 대한 제약사항에 관한 요구사항
- 품질 속성에 관련하여 시스템이 갖춰야 할 사항에 관한 기술
- 시스템이 준수해야 할 제한 조건에 관한 기술
- 신뢰성, 사용성, 효율성, 유지보수성, 이식성 및 품질 관련 요구사항, 제약사항
- 특정 함수의 호출은 3초를 넘지 않아야 함
- 시스템은 하루 24시간 가동되어야 하며 가동률 99.5%를 만족해야 함
- 시스템은 운영되는 중에 패치 및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어야 함
- 성능적인 면: 응답 속도, 자원 사용량 등
- 보안 측면: 침입 대응, 침입 탐지, 사용자 인증, 권한 부여 등
- 기능적 요구사항
- 요구 도출은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 정의한 문제의 범위 안에 있는 사용자의 요구를 찾는 단계이다.
- 요구 분석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실제적인 첫 단계로 사용자의 요구에 대해 이해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 도메인 분석은 요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배경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모델링을 하게 된다.
Q. 웹 서비스명, 제공 위치, 메세지 포맷, 프로토콜 정보 등 웹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가 기술된 XML 형식으로 구성된 언어를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
WSDL(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
- 서비스 기술언어로 Web Service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기 위한 XML 기반의 마크업 언어
- 웹서비스와 관련된 서식이나 프로토콜을 표준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 게시하기 위한 언어
- WSDL은 SOAP와 XML 스키마와 결합하여 인터넷상에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 UDDL
- 웹 서비스에 대한 정보의 공개 및 검색에 대한 방법을 정의하는 XML 기반의 공용 디렉토리 또는 프로토콜의 집합체를 의미하는 용어
- 웹 서비스에 대한 정보인 WSDL을 등록하고 검색하기 위한 저장소로 공개적으로 접근, 검색이 가능한 레지스트리이자 표준
- 인터넷에서 전세계의 비지니스 업체 목록에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확장성 언어(XML) 기반의 규격, WSDL을 등록하여 서비스와 서비스 제공자를 검색하고 접근하는데 사용됨
-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 마크업 언어: 서식이나 문서 내, 외의 다른 요소와의 연결 등을 표현하는 부호를 정의하여 다른 문서의 논리 구조나 체계를 정의하는 언어
- XML: 특수한 목적을 갖는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
RESTful 프로토콜: HTTP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원칙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웹서비스로, HTTP로 자원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웹서비스 API의 집합
- ESB(Enterprise Service Bus)
- 메시지 기반으로 느슨한 결합형태의 표준 인터페이스 통신을 지원하는 미들웨어, 버스형, 외부와 연동
- 기업 안팎에 있는 모든 시스템 환경을 연동하는 미들웨어
- 구성요소 → Rest(Json 구조의 이동)
- SOAP: 실제 통신 프로토콜
- UDDI: 도서관
- WSDL: 설명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Q. 다음은 파이썬 코드이다. 출력 결과를 쓰시오.
SKIDDP
1
2
3
4
5
6
7
8
9
class Soojebi:
li = ["Seoul", "Kyeonggi", "Inchon", "Daejoen", "Deagu", "Pusan"] # 멤버 리스트
s = Soojebi()
str01 = ' ' # 공백: 빈 문자열
for i in s.li:
str01 = str01 + i[0]
print(str01)
- Soojebi 클래스를 선언하고 리스트 li에는 “Seoul”, “Kyeonggi”, “Inchon”, “Daejoen”, “Deagu”, “Pusan”으로 초기화한다.
- Soojebi() 클래스 객체 s를 생성한다.
- str01는 ‘’로 초기화한다.
- for 반복문은 s.li 만큼 i 값을 반복한다. 오른쪽 str01에 i[0] 문자열을 합하여 왼쪽 str01에 대입한다.
- str01을 화면에 출력한다.
- 들여쓰기 미적용 시 concat 결과를 반복마다 자동개행하며 출력한다.
Q. 다음 SQL 실행 결과를 숫자만 쓰시오.
1
[급여]
1
2
SELECT COUNT(*) FROM 급여
WHERE EMPNO > 100 AND SAL >= 3000 OR EMPNO = 200;
- AND 연산자는 OR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다.
- EMPNO > 100이므로 EMPNO가 100 초과인 200, 300에 해당하며 SAL >= 3000이므로 SAL은 3000만 해당한다.
- 두 조건이 AND이므로 둘 다 참인 데이터만 해당하며 COUNT 결과는 1이 된다.
EMPNO | SAL |
---|---|
200 | 3000 |
Q. 다음 Java 프로그램 결과를 쓰시오.
3
1
45
50
89
1
2
3
4
5
6
7
8
9
10
public class Soojebi{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arr = new int[][]{ {45, 50, 75}, {89} };
System.out.println(arr[0].length);
System.out.println(arr[1].length);
System.out.println(arr[0][0]);
System.out.println(arr[0][1]);
System.out.println(arr[1][0]);
}
}
- 2차원 배열을 선언하고 초깃값으로 45, 50, 75, 89로 초기화한다.
Q. 정규화된 엔티티, 속성, 관계에 대해 성능 향상과 개발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 통합, 분리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의 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
반정규화 또는 비정규화 또는 역정규화
- 반정규(De-Normalization)는 정규화된 엔터티, 속성, 관계에 대해 성능 향상과 개발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 통합, 분리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의 기법으로 비정규화, 역정규화라고도 불린다.
- 반정규화를 위해서는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우선으로 할지 데이터베이스의 성능과 단순화에 우선순위를 둘 것인지를 비교하여 조정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 테이블 통합, 테이블 분할, 중복 테이블 추가, 중복 속성 추가
Q. 다음은 블랙박스 기법에 대한 예제이다. 블랙박스 기법 두 가지를 쓰시오.
경계값 분석, 동등 분할(동치 분할, 균등 분할, 동치 클래스 분해)
① 0 <= x <= 10이면 -1 0 10 11 검사
② 입력 데이터의 영역을 유사한 도메인별로 유횻값 / 무효값을 그룹핑하여 나누어서 검사
- 블랙박스 테스트(Black-Box Test) 또는 명세 기반 테스트는 프로그램 외부 사용자의 요구사항 명세를 보면서 수행하는 기능 테스트이며, 소프트웨어의 특징, 요구사항, 설계 명세서 등에 초점을 맞춰 이뤄지는 테스트이다.
- 블랙박스 테스트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동등분할 테스트 = 동치분할 테스트, 균등 분할 테스트, 동치 클래스 분해 테스트(Equivalence Partitioning Testing)
- 입력 데이터의 영역을 유사한 도메인별로 유효 값/무효 값을을 그룹핑하여 대푯값 테스트 케이스를 도출하여 테스트하는 기법
- 경곗값 분석 테스트 = 한곗값 테스트(Boundary Value Analysis Testing)
- 등가 분할 후 경곗값 부분에서 오류 발생 확률이 높기 때문에 경곗값을 포함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여 테스트하는 기법
- 최솟값 바로 위, 최대치 바로 아래 등 입력값의 극한 한계를 테스트하는 기법
- 경곗값은 클래스 간의 경곗값, 경계 바로 위 값, 경계 바로 아래 값이 있음
- 원인-결과 그래프 테스트(Cause-Effect Graphing Testing)
- 그래프를 활용하여 입력 데이터 간의 관계 및 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용성이 높은 테스트 케이스를 선정하여 테스트하는 기법
- 비교 테스트(Comparison Testing)
- 여러 버전의 프로그램에 같은 입력값을 넣어서 동일한 결과 데이터가 나오는지 비교해 보는 테스트 기법
- 오류 추정 테스트(Error Guessing Testing)
- 개발자가 범할 수 있는 실수를 추정하고 이에 따른 결함이 검출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여 테스트하는 기법
- 특정 테스트 대상이 주어지면 테스터의 경험과 직관을 바탕으로 개발자가 범할 수 있는 실수들을 나열하고, 해당 실수에 따른 결함을 노출하는 테스트로 다른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을 보완할 때 사용하는 기법
- 결정 테이블 테스트(Decision Table Testing)
- 요구사항의 논리와 발생조건을 테이블 형태로 나열하여, 조건과 행위를 모두 조합하여 테스트하는 기법
- 분류 트리 테스트(Classification Tree Method Testing)
- SW의 일부 또는 전체를 트리 구조로 분석 및 표현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여 테스트하는 기법
- 페어와이즈 테스트(Pairwise Testing)
- 테스트 데이터값 간에 최소한 한 번씩은 조합하는 방식이며, 이는 커버해야 할 기능적 범위를 모든 조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테스트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기법
- 상태 전이 테스트(State Transition Testing)
- 테스트 대상∙시스템이나 객체의 상태를 구분하고, 이벤트에 의해 어느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이되는 경우의 수를 수행하는 테스트 기법
- 유스케이스 테스트(Use Case Testing)
- 시스템이 실제 사용되는 유스케이스로 모델링 되어있을 때 프로세스 흐름을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명세화하여 수행하는 테스트 기법
- 동등분할 테스트 = 동치분할 테스트, 균등 분할 테스트, 동치 클래스 분해 테스트(Equivalence Partitioning Testing)
Q. 다음은 테스트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보기에서 찾아 기호로 쓰시오.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 ( ① ) 은/는 개별 모듈, 서브루틴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
- ( ②) 은/는 인터페이스 간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
[보기]
시스템 테스트 / 인수 테스트 / 알파 테스트 / 단위 테스트 / 통합 테스트 / 회귀 테스트
테스트 | 설명 |
---|---|
단위 테스트 |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단위 모듈, 서브루틴 등을 테스트하는 단계 |
통합 테스트 | 단위 테스트를 통과한 모듈 사이의 인터페이스, 통합된 컴포넌트 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는 테스트 단계 |
시스템 테스트 | 통합된 단위 시스템의 기능이 시스템에서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를 검증하는 테스트 단계 |
인수 테스트 | 계약상의 요구사항이 만족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한 단계 |
알파 테스트 | 선택된 사용자(회사 내의 다른 사용자 또는 실제 사용자)가 개발자 환경에서 통제된 상태로 개발자와 함께 수행하는 인수 테스트 |
베타 테스트 | 실제 환경에서 일정 수의 사용자에게 대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하고 피드백을 받는 인수 테스트 |
회귀 테스트 | 오류를 제거하거나 수정한 시스템에서 오류 제거와 수정 때문에 새로이 유입된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는 일종의 반복 테스트 기법 |
- 개발 단계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 단위 테스트(Unit Test)
- 단위 테스트는 코딩 직후 소프트웨어 설계의 최소 단위인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하는 것
- 인터페이스, 외부적 I/O, 자료 구조, 독립적 기초 경로, 오류 처리 경로, 경계 조건 등을 검사함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테스트를 최우선으로 수행함
- 구조 기반 테스트(화이트박스 테스트, 복잡도 위주)와 명세 기반 테스트(블랙박스 테스트, 기능 위주)로 나뉘지만 주로 구조 기반 테스트를 시행함
-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
- 통합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가 완료된 모듈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완성시키는 과정에서의 테스트를 의미함
- 통합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가 끝난 모듈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및 결함을 찾는 테스트 기법
- 모듈 간 또는 통합된 컴포넌트 간의 상호 작용 오류를 검사함
- 비점진적 통합 방식 - 빅뱅 통합 테스트 방식(모든 모듈이 미리 결합되어 있는 프로그램 전체를 테스트)
- 점진적 통합 방식 - 하향식, 상향식, 혼합식 통합 테스트
- 시스템 테스트
- 구현된 시스템이 정해진 요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실제 운용과 같은 환경에서 시스템 전체에 대해서 행하는 테스트
- 시스템 테스트는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서 완벽하게 수행되는가를 점검하는 테스트임
- 기능적 요구사항과 비기능적 요구사항으로 구분하여 각각을 만족하는지 테스트함
- 인수 테스트
- 인수 테스트는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사용자가 직접 테스트함
- 사용자 인수 테스트
- 사용자가 시스템 사용의 적절성 여부를 확인함
- 운영상의 인수 테스트
- 시스템 관리자가 시스템 인수 시 수행하는 테스트 기법
- 백업/복원 시스템, 재난 복구, 사용자 관리, 정기 점검 등을 확인함
- 계약 인수 테스트
- 계약상의 인수/검수 조건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
- 규정 인수 테스트
- 소프트웨어가 정부 지침, 법규, 규정 등 규정에 맞게 개발되었는지 확인함
- 알파 테스트
- 특정 사용자들에 의해 개발자 관점에서 수행 (가장 자주 사용)
- 개발자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개발자 앞에서 행하는 테스트 기법
- 테스트는 통제된 환경에서 행해지며, 오류와 사용상의 문제점을 사용자와 개발자가 함께 확인하면서 기록함
- 베타 테스트
- 선정된 최종 사용자가 여러 명의 사용자 앞에서 행하는 테스트 기법
- 실업무를 가지고 사용자가 직접 테스트
- 회귀 테스트
-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변경, 결함 수정 또는 기능개선 등과 같은 원인으로 프로그램 코드에 대하여 물리적인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 새로운 결함에 대비하여 이미 실시했던 테스트케이스를 재시험하는 테스트
- 소프트웨어의 변경 또는 수정된 코드에 새로운 결함이 없음을 확인하는 테스트
- 회귀 테스트는 통합 테스트로 인해 변경된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새로운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 이미 테스트된 프로그램의 테스팅을 반복하는 것
Q. 다음은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128, 8
- IPv6는 ( ① ) 비트 길이를 가진다.
- IPv4는 길이 32bit이며, ( ② ) 비트씩 네 부분으로 나눈다.
- IPv6는 주소길이가 128bit이고 IPv4는 32bit이다.
IPv4와 IPv6 특징
구분 IPv4 IPv6 주소 길이 32Bit 128Bit 표시 방법 8비트씩 4부분으로 나뉜 10진수(192.168.10.1) 16비트씩 8부분으로 나뉜 16진수(2001:9e76:..:e11c) 주소 개수 약 43억 개 3.4x10^38 주소 할당 A, B, C, D 등 클래스 단위 비순차적 할당(비효율적) 네트워크 규모 및 단말기 수에 따른 순차적 할당(효율적) 품질 제어 품질보장 곤란 등급별, 서비스별로 패킷 구분 가능해 품질보장 용이(QoS) 헤더 크기 가변 고정 QoS Best Effort 방식 / 보장 곤란 등급별, 서비스별 패킷 구분 보장 보안 기능 IPSec 프로토콜 별도 설치 확장 기능에서 기본 제공 Plug & Play 지원 안함 지원 모바일 IP 곤란 용이 웹 캐스팅 곤란 용이 전송방식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 IP(Internet Protocol)
-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함
- 데이터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함
- Best Effort 원칙에 따른 전송 기능을 제공함
- 패킷의 분해/조립, 주소 지정, 경로 선택 기능을 제공함
- 헤더의 길이는 최소 20Byte에서 최대 60Byte이다.
- IP 헤더에는 Version, Header Length, Total Packet Length, Header, Checksum, Source IP Address, Destination IP Address 등이 포함됨
- IPv4 & IPv6 비교
-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
- IPv4
- 8비트씩 4부분, 총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음 ←
.
으로 구분, 10진수 - 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의 길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A 클래스에서 E 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음, 비 순차적 할당
- 호스트 주소를 자동으로 설정하며, 클래스별로 네트워크와 호스트 주소의 길이가 다름
20-60 바이트의 가변 길이의 헤더 크기, 패킷에 대한 보안을 신경씀
- IPv4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소 체계로 나누어짐
- 유니캐스트(Unicast): 단일 송신자와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1 대 1 통신에 사용), 아는 사람
- 멀티캐스트(Multicast): 단일 송신자와 다중 수신자 간의 통신(1대 다 통신에 사용)
-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시스템에게 프레임을 보내는 방식, 방송용, 효율 떨어짐(아무에게나 다 쏨)
- 8비트씩 4부분, 총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음 ←
-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 IPv6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IP 주소 체계인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음
- 16비트씩 8부분으로 구성, 총 128비트의 긴 주소를 사용하여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
:
으로 구분, 16진수 - 주소 자동설정(Auto Configuration) 기능을 통해 손쉽게 이용자의 단말을 네트워크에 접속시킬 수 있음, 네트워크 규모 및 단말기 수에 따라 순차할당(자동할당, 원하면 순서대로 할당함)
- 헤더는 40 바이트의 고정 길이, 확장 기능을 통해 보안기능을 제공
- IP 헤더 옵션이 없음, 일반적으로, IPv6 헤더는 IPv4 헤더보다 간단함
- IPv4에 비해 자료 전송 속도가 빠름
- 보안과 인증 확장 헤더를 사용함으로써 인터넷 계층의 보안기능을 강화
- 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 주소의 확장성, 융통성, 연동성이 뛰어남
-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함
- 패킷 크기를 확장할 수 있으므로 패킷 크기에 제한이 없음
- 기본 헤더 뒤에 확장 헤더를 더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정보의 저장이 가능해져 네트워크 기능 확장이 용이함
IPv4와 호환성이 뛰어남
- IPv6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소 체계로 나누어짐
- IPv4/IPv6 전환 기술
- 듀얼스택(Dual Stack)
- IPv4/IPv6 동시 지원, IPv4/IPv6 패킷을 동시에 주고받을 수 있음
- 터널링(Tunneling)
- 두 IPv6 네트워크 간에 터널을 이용하는 기술
- IPv4/IPv6 호스트와 라우터에서 IPv6 패킷을 IPv4 패킷에 캡슐화하여 전송
- 주소변환Address Translation)
- IPv4와 IPv6 간에 주소를 변환하여 두 버전을 연동
- 듀얼스택(Dual Stack)
-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Q. 공유메모리, 소켓, 세마포어, 메세지 큐 등 프로세스 간 통신하는 기술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
IPC (Inter Process Communication)
- IPC (Inter Process Communication)는 프로세스 간 통신 기술이다.
IPC 기법에는 메시지 큐, 공유메모리, 소켓, 세마포어가 있다.
기법 설명 메시지 큐 메시지(또는 패킷) 단위로 동작하여 프로세스 간 통신함 공유 메모리 한 프로세스의 일부분을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 소켓 클라이언트와 서버 프로세스 둘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함 세마포어 프로세스 사이의 동기를 맞추는 기능을 제공함
Q. 시스템 통합에 사용되는 솔루션으로 구축 유형에는 Point to Point, Hub & Spoke, Message Bus가 있다.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 연계,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EAI는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 연계,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이다.
- EAI를 사용함으로써 각 비지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각 시스템 간의 확장성을 높여줄 수 있다.
- EAI 구축 유형에는 포인트 투 포인트, 허브 앤 스포크, 메시지 버스, 하이브리드가 있다.
Q. 주어진 테이블의 Cardinality, Degree를 구하시오.
5, 4
- 관계 데이터 모델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 릴레이션: 행(Row)와 열(Column)로 구성된 테이블
- 튜플(Tuple): 릴레이션 행(Row)에 해당하는 요소,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
- 속성(Attribute): 릴레이션 열(Column)에 해당하는 요소, DB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 카디널리티(Cardinality): 튜플(Tuple)의 수
- 차수(Degree): 속성(Attribute)의 수
- 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제약조건 등의 정보를 담고 잇는 기본적인 구조
- 인스턴스(Instance): 정의된 스키마에 따라 생성된 테이블에 실제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
- 도메인: 하나의 속성이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원자 값들의 집합
Q. 다음은 C언어 프로그램이다. 실행 결과를 쓰시오.
Lee
3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include <stdio.h>
int main() {
struct insa { // 여러 변수들을 모아, 하나의 객체를 구성
char name[10];
int age;
} a[] = {"Kim", 28, "Lee", 38, "Park", 41, "Choi", 30}; // 바로 인스턴스 생성(선언x)
struct insa *p; // 구조체 변수를 포인터 변수로 만듦
p = a;
p++;
printf("%s\n", p->name);
printf("%d\n", p->age);
}
- 크기가 10인 char 타입의 name 필드와 정수형 변수 age를 가지는 insa라는 구조체를 선언과 동시에 구조체 배열 a를 선언하고 필드를 초기화한다.
- struct insa *p;라는 문장에서 구조체 포인터(struct insa *) 타입의 변수 p를 선언한다.
- 구조체 배열 a의 주솟값을 p에 대입한다. 배열의 경우 배열명은 주솟값을 의미한다.
- p++ 문장을 수행하여 포인터 값을 증가시킨다.
- printf 함수에서 p가 가리키는 name과 age를 출력한다.
struct insa a[] | name | age | struct insa *p |
---|---|---|---|
a[0] | Kim | 28 | |
a[1] | Lee | 38 | p++ 수행으로 가리키는 주소(p를 1 증가) |
a[2] | Park | 41 | |
a[3] | Choi | 30 |
※ 구조체란?
- 여러 변수들을 모아서, 하나의 객체를 구성할 때 사용하는 사용자 정의 타입 객체
- 구조체:
struct
로 선언 - 일반 변수로 만든 경우:
.
으로 접근 - 포인터 변수로 만든 경우:
->
로 접근- insa 구조체를 담을 수 있는 포인터 변수 p 생성하고 주소값 대입
- p++로 인해 s[1]가 되면서 두번째 배열인 Lee와 38이 출력이 된다.
Q. 데이터 모델 구성요소 3가지를 쓰시오.
연산, 구조, 제약조건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로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기본 도구이다.
- 개체 데이터 모델에서는 ( ① ) 을/를 이용하여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를 나타내는데 논리 데이터 모델에서는 ( ② ) 을/를 어떻게 나타낼 것인지 표현한다.
- ( ③ ) 은/는 데이터 무결성 유지를 위한 db의 보편적 방법으로 릴레이션의 특정 칼럼에 설정하는 제약을 의미하며, 개체무결성과 참조 무결성 등이 있다.
- DBMS 필수 기능 3가지: 정의, 조작, 제어
- 스키마: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
데이터 모델: 현실 세계의 정보들을 단순화,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형
- 데이터 모델(Data Model)
- 데이터 모델은 현실 세계의 정보들을 컴퓨터에 표현하기 위해서 단순화,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형
-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에서 데이터의 구조(Schema)를 논리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능적인 도구
-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 데이터의 관계, 데이터의 의미 및 일관성, 제약 조건 등을 기술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들로 구성
- 데이터 모델 구성 요소
개체(Entity) |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보단위 같은 현실 세계의 대상체 |
속성(Attribute) |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데이터 항목, 데이터 필드 |
관계(Relationship) | 개체 간의 관계, 속성간의 논리적 연결 |
- 데이터 모델 종류
개념적 데이터 모델 |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 대표적인 개념적 데이터 모델로는 E-R 모델이 있다. 연산을 이용하여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를 나타냄 |
논리적 데이터 모델 | 개념적 모델링 과정에서 얻은 구조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게 변환하는 과정, ‘정규화’ 작업은 이부분에 해당한다. 구조를 어떻게 나타낼 것인지 표현 |
물리적 데이터 모델 | 실질적 데이터 구조 설계로, 테이블 정의서, 명세서 등이 있다. |
- 데이터 모델 표시 정보
연산 | |
(Operation)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로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기본 도구 |
구조 | |
(Structure) | 논리적으로 표현된 개체 타입들 간의 관계로서 데이터 구조 및 정적 성질 표현 |
제약 조건 | |
(Constraint)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 조건 데이터 무결성 유지를 위한 db의 보편적 방법으로 릴레이션의 특정 칼럼에 설정하는 제약을 의미하며, 개체무결성과 참조 무결성 등이 있다. |
- 연산(Operation)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
- 릴레이션을 조작하기 위한 관계 연산을 나타내며 관계 연산에는 select, project, join 등이 있음
- 구조(Structure)
- 논리적으로 표현된 개체 타입 간의 관계
- 데이터 구조 및 정적 성질 표현
- 릴레이션에 해당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원잣값으로 갖는 이차원의 테이블로 표현
- 제약 조건(Constraint)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조건
DB 설계 순서
① 요구조건 분석
-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요구 조건 명세서 작성
② 개념적 설계
-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적으로 표현하여 개념적 구조를 도출하는 과정으로 주요 산출물에는 E-R 다이어그램
- 개념 스키마, 트랜잭션 모델링, E-R 모델링
③ 논리적 설계
- 목표 DBMS에 맞는 스키마 설계, 트랜잭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정규화 과정을 수행
- 개념 스키마 평가 및 정제, 논리 스키마 설계
④ 물리적 설계
- 특정 DBMS의 특성 및 성능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 저장 구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결과로 나오는 명세서는 테이블 정의서
-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데이터를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
- 레코드 집중의 분석,설계 / 저장레코드 양식 설계 / 저장 구조 및 액세스 경로 설정
⑤ 구현
- DDL로 데이터베이스 생성
-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트랜잭션 작성
-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도출된 스키마를 파일로 생성하는 과정
Q. 다음은 Java 프로그램이다. 실행 결과를 쓰시오.
0+1+2+3+4+5=1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public class Soojebi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j;
for (j=0, i=0; i<= 5; i++) {
j += i;
System.out.print(i);
if (i == 5) {
System.out.print("=");
System.out.print(j);
}
else {
System.out.print("+");
}
}
}
}
- 정수형 변수 i, j를 선언한다.
- for 반복문에서는 j=0, i=0으로 초깃값을 설정하고 i가 5보다 작거나 같을 때까지 i 값을 1씩 증가하며 반복한다.
- i와 j를 더한 결과를 j에 대입하고 i를 화면에 출력한다.
- 만약 i가 5와 같으면 “=”을 화면에 출력하고 j 값을 화면에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를 화면에 출력한다.
i | j | 출력값 |
---|---|---|
0 | 0 | 0+ |
1 | 1 | 1+ |
2 | 3 | 2+ |
3 | 6 | 3+ |
4 | 10 | 4+ |
5 | 15 | 5=15 |
Q. 시스템 객체의 접근을 개인 또는 그룹의 식별자에 기반을 둔 방법, 어떤 종류의 접근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 자신의 판단에 따라 권한을 허용하는 접근제어 방식은?
임의적 접근 통제 (DAC;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 서버 접근통제 유형에는 임의적 접근통제, 강제적 접근통제, 역할 기반 접근통제가 있다.
- 임의적 접근 통제(DAC;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 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사용자/그룹의 신분 기반으로 제한하는 방법
- DAC에서 사용자는 자원과 관련된 ACL(Access Control List)이 수정됨으로써 자원에 대한 권한을 부여
- 강제적 접근 통제(MAC; Mandatory Access Control)
- 시스템 정보의 허용등급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갖는 접근 허가 권한에 근거하여 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
- MAC에서 사용자들은 자원에 대한 권한을 관리자로부터 부여
- 관리자만이 시스템 자원에 대한 권한을 할당할 수 있음
- 역할기반 접근 통제(RBAC; Role Based Access Control)
- 중앙 관리자가 사용자와 시스템의 상호관계를 통제하며 조직 내 맡은 역할(Role)에 기초하여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
- RBAC에서 자원에 대한 접근은 사용자에게 할당된 역할에 기반
- 관리자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권리와 권한이 정의된 역할을 할당
- 임의적 접근 통제(DAC;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서버 접근통제 간 비교
정책 DAC MAC RBAC 권한 부여 데이터 소유자 시스템 중앙 관리자 접근 결정 신분(Identity) 보안등급(Label) 역할(Role) 정책 변경 변경 용이 고정적(변경 어려움) 변경 용이 장점 구현 용이, 유연함 안정적, 중앙 집중적 관리 용이
Q. 다음은 결합도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보기에서 찾아 기호로 쓰시오.
내용 결합도, 스탬프 결합도, 공통 결합도
- ( ① ) 은/는 다른 모듈 내부에 있는 변수나 기능을 다른 모듈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결합도
- ( ② ) 은/는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배열이나 객체, 구조 등이 전달되는 경우의 결합도
- ( ③ ) 은/는 파라미터가 아닌 모듈 밖에 선언된 전역 변수를 참조하고 전역 변수를 갱신하는 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경우의 결합도
[보기]
자료 결합도 / 스탬프 결합도 / 제어 결합도 / 공통 결합도 / 내용 결합도 / 외부 결합도
- 결합도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내용 결합도(Content Coupling)
- 다른 모듈 내부에 있는 변수나 기능을 다른 모듈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결합도
- 하나의 모듈이 직접적으로 다른 모듈의 내용을 참조할 때 두 모듈은 내용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의 결합도
- 공통 결합도(Common Coupling)
- 파라미터가 아닌 모듈 밖에 선언되어 있는 전역 변수를 참조하고 전역 변수를 갱신하는 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경우의 결합도
- 공유되는 공통 데이터 영역을 여러 모듈이 사용 할 때의 결합도
- 외부 결합도(External Coupling)
- 두 개의 모듈이 외부에서 도입된 데이터 포맷, 통신 프로토콜, 또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공유할 경우의 결합도
- 외부 모듈에서 선언한 데이터(변수)를 외부의 다른 모듈에서 참조할 때의 결합도
- 제어 결합도(Control Coupling)
- 어떤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논리 조직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의 결합도
- 하위 모듈에서 상위 모듈로 제어 신호가 이동하여 상위 모듈에게 처리 명령을 부여하는 권리 전도 현상이 발생하는 결합도
- 스탬프 결합도(Stamp Coupling)
-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배열이나 객체, 구조 등이 전달되는 경우의 결합도
- 두 모듈이 동일한 자료구조를 조회하는 경우의 결합도이며, 자료구조의 어떤한 변화는 모든 모듈에 영향을 미치게 됨
- 자료 결합도(Data Coupling)
-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를 통해서만 모듈 간의 상호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의 결합도
- 한 모듈의 내용을 변경하더라도 다른 모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로 가장 바람직한 결합도
- 내용 결합도(Content Coupling)
- 결합도가 낮을수록 품질이 좋아진다.
Q.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공격 기법을 적으시오.
세션 하이재킹
- ( ) 은/는 ‘세션을 가로채다’ 라는 의미로 정상적 연결을 RST 패킷을 통해 종료시킨 후 재연결 시 희생자가 아닌 공격자에게 연결한다.
- ( ) 은/는 세션 관리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기법이다.
- 세션 하이재킹(Session Hiacking)
- 케빈 미트닉이 사용했던 공격 방법의 하나로 TCP의 세션 관리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기법이다.
- 세션 하이재킹에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비동기화 상태 탐지, ACK 패킷 비율 모니터링, 특정 세션에서 패킷 유실 및 재전송이 증가하는 것을 탐지해야 한다.
- 상호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접속해 있는 서버와 서로 접속되어 클라이언트 사이의 세션 정보를 가로채는 공격 기법으로, 접속을 위한 인증 정보 없이도 가로챈 세션을 이용해 공격자가 원래의 클라이언트인 것처럼 위장하여 서버의 자원이나 데이터를 무단으로 사용한다.
- TCP 3-Way-Handshake 과정에 끼어듦으로써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동기화된 시퀀스번호를 가로채 서버에 무단으로 접근하는 TCP 세션 하이재킹이 대표적인 예이다.
- RST(Reset) - R: 재 연결 종료
- 재설정(Reset)을 하는 과정이며 양방향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중단 작업이다. 비 정상적인 세션 연결 끊기에 해당한다. 이 패킷을 보내는 곳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곳과 즉시 연결을 끊고자 할 때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