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2020년 1회

1과목 : 컴퓨터 일반


Q. 다음 중 사운드의 압축 및 복원과 관련된 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FLAC

② AIFF 

❸ H.264

④ WAV

  • 오디오 파일 형식
    • FLAC (Free Lossless Audio Codec): MP3처럼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형식이지만, MP3와 달리 무손실 압축을 제공한다. 즉,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할 때 원본 음질을 손실 없이 유지한다. FLAC 파일은 고음질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많다.
    • AIFF (Audio Interchange File Format): 개인용 컴퓨터와 기타 오디오 전자 장비에서 소리를 저장하는 오디오 파일 형식이다. 주로 Apple의 Mac OS에서 표준으로 사용된다. AIFF는 무손실 오디오 형식으로, 원본 음질을 그대로 유지한다. Apple의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인 Logic Pro와 같은 소프트웨어에서 널리 사용된다.
    • WAV (Waveform Audio File Format): 음성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윈도우의 음성 정보 파일 형식이다. WAV 파일은 PCM(Pulse Code Modulation) 형식을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는 무손실 형식으로 원본 음질을 유지한다. 주로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며, 전문 오디오 작업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 WAVE: Microsoft사에서 기본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사용된다. 이는 WAV와 같은 형식을 의미하며, 윈도우 환경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된다.

Q. 다음 중 컴퓨터 게임이나 컴퓨터 기반 훈련과 같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 상황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의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는? 

① 선형 콘텐츠

❷ 비선형 콘텐츠 

③ VR 콘텐츠

④ 4D 콘텐츠

  • 콘텐츠 유형
    • 선형 콘텐츠: 사용자가 탐색을 제어하지 않고 진행되는 콘텐츠이다. 영화와 같이 정해진 순서대로 진행되며, 사용자가 순서를 변경하거나 탐색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화면이 단일 방향으로 표현되어, 사용자는 콘텐츠를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시청하게 된다.
      • 예시: 영화, TV 프로그램, 라디오 방송
    • 비선형 콘텐츠: 하이퍼미디어 콘텐츠로도 알려져 있으며, 사용자가 탐색과 제어를 할 수 있는 콘텐츠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필요와 흥미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비선형 콘텐츠는 상호작용성을 중시하며, 사용자가 콘텐츠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 예시: 웹사이트, 인터랙티브 게임, e-러닝 자료
  •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
    • 디지털화: 다양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합 처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텍스트, 이미지, 소리, 영상 등의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 전송,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디지털화는 데이터의 접근성, 전송 속도, 복제 용이성 등을 향상시킨다.
    • 쌍방향성: 정보 제공자가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데이터가 전달된다. 이는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정보를 조정하고, 사용자 요구에 맞춘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쌍방향성은 사용자 참여를 촉진하고, 보다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한다.
    • 비선형성: 데이터가 일정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처리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와 흥미에 따라 정보를 자유롭게 탐색하고 접근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중심의 정보 구조를 가능하게 하여, 정보 접근의 유연성을 높인다.
    • 정보의 통합성: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의 여러 미디어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형식의 미디어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풍부하고 몰입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정보의 통합성은 여러 형태의 데이터를 결합하여 복합적인 정보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 이러한 특성들은 디지털 미디어가 아날로그 미디어에 비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더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며,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Q. 다음 중 정보 보안을 위한 비밀키 암호화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밀키 암호화 기법의 안전성은 키의 길이 및 키의 비밀성 유지 여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② 암호화와 복호화 시 사용하는 키가 동일한 암호화 기법이다. 

❸ 복잡한 알고리즘으로 인해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느리다. 

④ 사용자가 증가할 경우 상대적으로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많아진다.

  • 암호화 기법의 종류와 특징
    • 공개키 암호화 기법 (비대칭 암호화)
      • 키 사용 방식: 암호화에 사용하는 키(공개키)는 공개되며, 복호화에 사용하는 키(비밀키)는 비공개로 유지된다.
      • 속도: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느리다.
      • 알고리즘: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키 관리: 키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할 키의 수가 적다.
      • 대표 알고리즘: RSA (Rivest-Shamir-Adleman)
        • RSA는 대표적인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큰 소수의 곱셈을 이용한 보안성을 제공한다.
      • 장점: 키 분배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사용자 간에 비밀키를 공유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안성이 높다.
      • 단점: 처리 속도가 느리며, 복잡한 계산을 요구한다.
    • 비밀키 암호화 기법 (대칭 암호화)
      • 키 사용 방식: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한다. 이 키는 비밀키라고도 하며, 대칭키 암호화 기법 또는 단일키 암호화 기법이라고 한다.
      • 속도: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빠르다.
      • 알고리즘: 단순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키 관리: 사용자 수가 증가할수록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 대표 알고리즘: DES (Data Encryption Standard)
        • DES는 한때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보안상의 이유로 더 강력한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로 대체되었다.
      • 장점: 처리 속도가 빠르며, 구현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 단점: 키 분배가 어렵고, 많은 사용자 간의 안전한 키 공유가 필요하다.
  • 비대단: 비밀키 암호화 (비밀키, 대칭키, 단일키) - DES
  • 공비이: 공개키 암호화 (공개키, 비대칭, 이중키) - 암호화는 공개키로, 복호화는 비공개키로
  • 키 관리의 중요성: 대칭키 암호화에서는 모든 사용자 쌍마다 고유의 키가 필요하기 때문에, 키의 수가 사용자 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반면, 비대칭키 암호화에서는 각 사용자마다 하나의 공개키와 하나의 비밀키만 관리하면 됩니다.
  • 속도와 보안의 균형: 비대칭 암호화는 보안성이 높지만 속도가 느리고, 대칭 암호화는 속도가 빠르지만 키 관리가 어렵다. 따라서 실무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공개키 암호화를 통해 대칭키를 안전하게 공유한 후, 실제 데이터 암호화는 대칭키 암호화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Q. 다음 중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네트워크 주변을 돌아다니는 패킷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행위 

② 검증된 사람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데이터를 변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행위 

❸ 여러 대의 장비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에 대량의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서버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는 행위 

④ 키보드의 키 입력시 캐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D나 암호 정보를 빼내는 행위

  • 공격 기법
    1. 스니핑 (Sniffing)
    • 설명: 네트워크 상에서 주고받는 패킷을 엿보는 행위이다. 이를 통해 계정 정보나 패스워드 같은 민감한 데이터를 알아낼 수 있다.
    • 예시: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로그인 정보를 가로채는 행위.
      1. 스푸핑 (Spoofing)
    • 설명: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로 가장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변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행위이다. 이로 인해 시스템에 대한 불법적인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다.
    • 예시: IP 스푸핑을 통해 네트워크 패킷을 변조하여 접근 제어를 우회하는 행위.
      1.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DDoS)
    • 설명: 여러 대의 장비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에 대량의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서버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는 행위이다. 서버가 과부하에 걸리게 되어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다.
    • 예시: 여러 봇넷을 이용해 웹사이트에 과도한 트래픽을 발생시켜 서버를 다운시키는 행위.
      1. 키로거 (Keylogger)
    • 설명: 키보드의 키 입력을 기록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ID나 암호 정보를 빼내는 행위이다.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입력을 캡처하여 공격자에게 전달한다.
    • 예시: 감염된 컴퓨터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을 기록하여 온라인 뱅킹 정보를 탈취하는 행위.
      1. 피싱 (Phishing)
    • 설명: 이메일이나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를 가짜 사이트로 유도한 후, 아이디나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빼내는 기법이다.
    • 예시: 은행을 사칭한 이메일을 보내 가짜 로그인 페이지로 유도하여 계정 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행위.
      1. 파밍 (Pharming)
    • 설명: 사용자의 브라우저 설정을 조작하여 가짜 사이트로 접속하게 만드는 기법이다. 사용자는 정상적인 웹사이트에 접속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가짜 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
    • 예시: DNS 설정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접속하는 웹사이트를 가짜 웹사이트로 리다이렉트하는 행위.
      1. 스파이웨어 (Spyware)
    • 설명: 사용자 동의 없이 설치되어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사생활을 침해하는 프로그램이다.
    • 예시: 사용자의 웹 활동을 추적하여 광고를 표시하거나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1. 스미싱 (Smishing)
    • 설명: 휴대폰을 공격 플랫폼으로 사용하는 피싱의 한 형태이다. 문자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를 가짜 웹사이트로 유도하여 개인정보를 탈취한다.
    • 예시: 은행을 사칭한 문자 메시지를 보내 링크를 클릭하게 유도하여 피싱 사이트에 접속하게 하는 행위.

Q. 다음 중 VoI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터넷 IP 기술을 사용한 디지털 음성 전송 기술이다. 

❷ 원거리 통화 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보다는 요금이 높지만 일정 수준의 통화 품질이 보장된다. 

③ 기존 회선교환 방식과 달리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패킷형태로 전송한다. 

④ 보컬텍(VocalTec)사의 인터넷폰으로 처음 소개되었으며, PC to PC, PC to Phone, Phone to Phone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 VOIP (인터넷 전화)
    •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일반 데이터망에서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 서비스 기술이다.
    • 기존의 인터넷 인프라를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어 구축 비용과 요금이 저렴하다. 그러나 사용자 간 회선을 독점적으로 보장해주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아지면 통화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 VOIP의 장점
    • 경제성: 시내전화 요금 수준으로 시외 및 국제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유연성: 인터넷이 연결된 곳이라면 어디서든 VOIP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 확장성: 추가 하드웨어나 전용 회선 없이도 서비스 확장이 용이하다.
  • VOIP 특징
    • 약어: VOIP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음성’의 약어이다.
    • 작동 원리: 음성 신호를 압축하여 IP(인터넷 프로토콜)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방법이다.
    • 비용 효율성: 시내전화 요금 수준으로 시외 및 국제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통화 품질: 네트워크 트래픽 상황에 따라 통화 품질이 변동될 수 있다.
  • VOIP는 인터넷을 통해 음성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저렴한 통화 비용과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네트워크 트래픽에 따른 품질 변동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Q. 다음 중 대량의 데이터 안에서 일정한 패턴을 찾아내고, 이로부터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해내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①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❷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③ 데이터 마이그레이션(Data Migration) 

④ 메타데이터(Metadata)

  1. 데이터 웨어하우스 - 데이터베이스들의 모임
    • 설명: 데이터베이스들은 서로 관련된 데이터를 모아두고, 이를 통해 보다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 정리: 여러 데이터베이스가 모여서 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루며, 다양한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 활용: 통합 관리, 분석, 정보 추출.
  2. 데이터 마이닝 - 대량의 데이터 안에서 일정한 패턴을 찾아내고, 정보를 추출
    • 설명: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패턴이나 규칙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주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사용한다.
    • 정리: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데이터 속에서 유의미한 패턴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도출한다.
    • 활용: 빅데이터 분석,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3.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 데이터를 적절히 이동 배치
    • 설명: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다른 시스템으로 이전하거나, 기존 시스템 내에서 적절히 배치하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서버 이전이나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 이에 해당한다.
    • 정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이다.
    • 활용: 데이터 관리, 시스템 통합, 효율적인 데이터 활용.
  4. 메타데이터 -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어떤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 설명: 메타데이터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로, 특정 데이터의 내용, 구조, 속성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파일의 작성자 정보 등이 메타데이터이다.
    • 정리: 데이터를 설명하거나 관리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저장된 정보이다.
    • 활용: 데이터 관리, 검색, 구조화.

Q. 다음 중 네트워크 프로토콜(Protocol)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패킷 수를 조정하는 흐름 제어 기능

② 송/수신기를 같은 상태로 유지하는 동기화 기능

③ 데이터 전송 도중에 발생하는 에러 검출 기능

❹ 네트워크 기반 하드웨어 연결문제 해결 기능

  • 프로토콜
    •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들 간에 정보 교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규약이다. 이는 네트워크 통신의 규칙과 약속을 의미한다.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련의 규칙과 절차이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다. 주요 기능으로는 흐름 제어, 동기화, 에러 제어가 있다.
  • 프로토콜의 주요 기능
    1. 흐름 제어 (Flow Control)
      • 설명: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의 속도를 조절하여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는 기능이다. 이는 통신망에 흐르는 패킷 수를 조절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 예시: TCP의 윈도우 크기 조절 메커니즘이 흐름 제어의 한 예이다. TCP 윈도우 크기 조절, XON/XOFF 소프트웨어 제어.
    2. 동기화 (Synchronization)
      • 설명: 데이터 전송 시 송신기와 수신기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한다.
      • 예시: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동기화 신호, 세션 시작과 종료를 조절하는 기법 등이 동기화 기능에 포함된다. 클럭 신호, 동기화 비트.
    3. 에러 제어 (Error Control)
      • 설명: 데이터 전송 도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고, 이를 수정하는 기능이다. 이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한다.
      • 예시: 체크섬, CRC (Cyclic Redundancy Check) 등의 오류 검출 및 수정 기법이 에러 제어의 예이다. 체크섬, CRC, 해밍 코드,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메커니즘. - 이 세 가지 기능은 네트워크 통신의 기본이 되며,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원활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Q. 다음 중 인터넷 서버까지의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인 ‘Tracert’의 실행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IP 주소,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의 수,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②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해당 서버가 문제인지 인터넷 망이 문제인지 확인할 수 있다.

③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어느 구간에서 정체를 일으키는지 확인할 수 있다.

❹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④번의 내용은 netstat 이다.
  • ping 테스트: 특정 호스트에 대해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로, 해당 호스트의 IP 주소를 알고 있다면, 현재 네트워크 환경에서부터 접속하고자 하는 호스트까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테스트한다.
  • Tracert (Traceroute) 명령어
    • Tracert: 인터넷 서버까지의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로, IP 주소와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장비의 수) 및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1. 경로 추적: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해당 서버의 문제인지 인터넷 망의 문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2. 속도 측정: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어느 구간에서 정체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3. 네트워크 문제 해결: 네트워크 상의 특정 장비나 노드가 응답하지 않거나,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구간을 파악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사용 예시:

    1
    
      tracert www.example.com
    
    • IP 주소 확인: 경로 상의 각 장비의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 경로 추적: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데 거치는 모든 라우터를 표시한다.
    • 왕복 시간 측정: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시간을 ms(밀리초) 단위로 표시하여,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 참고 명령어:
    1. ping: 특정 IP 주소나 도메인 이름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확인하는 명령어. 주로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거나 연결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 사용 예시ping www.example.com
      • 기능: 패킷 손실 여부와 응답 시간을 확인.
    2. netstat: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통계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포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사용 예시netstat -an
      • 기능: 현재 열려 있는 포트, 활성화된 연결, 리스닝 포트 등을 표시.
    3. nslookup: DNS 서버를 조회하여 도메인 이름의 IP 주소를 확인하는 명령어.
      • 사용 예시nslookup www.example.com
      • 기능: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조회.
    4. ipconfig (Windows) / ifconfig (Linux):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 정보를 확인하고 설정하는 명령어.
      • 사용 예시ipconfig 또는 ifconfig
      • 기능: 현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등을 확인.
  • 이와 같은 네트워크 명령어들은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된다. Tracert 명령어는 특히 인터넷 경로 추적과 네트워크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다.

Q. 다음 중 IPv6 주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6비트씩 8부분으로 총 128비트로 구성된다.

❷ 각 부분은 10진수로 표현되며,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③ 주소체계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로 나누어진다.

④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한다.

  • IPv4와 IPv6의 차이점
    •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주로 현재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1. 구성: 8비트씩 4부분으로 구성되어 총 32비트.
      2. 표현 방식: 각 부분은 10진수로 표현.
      3. 구분 기호: 점(.)으로 구분.
      4. 주소 예시192.168.0.1
      5. 주소 공간: 약 43억 개의 주소 제공.
      6. 특징: 주소 부족 문제로 인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 사용.
    •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1. 구성: 16비트씩 8부분으로 구성되어 총 128비트.
      2. 표현 방식: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
      3. 구분 기호: 콜론(:)으로 구분.
      4. 주소 예시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 연속된 0을 생략할 수 있어 2001:db8:85a3::8a2e:370:7334로 표기 가능.
      5. 주소 공간: 사실상 무한대에 가까운 주소 제공.
      6. 특징: 주소 부족 문제 해결, 보안 및 효율성 강화, 자동 구성 지원.
      7. 주소 공간의 차이:
    • IPv4: 약 43억 개의 주소로 제한적.
      • 192.168.1.1
      • 10.0.0.1
    • IPv6: 2^128개의 주소로 사실상 무한에 가까움, 주소 부족 문제 해결.
      •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 fe80::1
        1. 구성 및 표현의 차이:
    • IPv4A.B.C.D 형식으로 각 부분이 0에서 255 사이의 10진수로 표현.
    • IPv6X:X:X:X:X:X:X:X 형식으로 각 부분이 4자리 16진수로 표현되며, 연속된 0은 생략 가능하여 더 간결하게 표현.
      1. 기술적 차이:
    • IPv4: NAT 사용으로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고 주소 공간을 절약.
    • IPv6: NAT 없이도 방대한 주소 공간 제공, 자동 주소 구성, IPsec 내장으로 보안 강화.
      1. 기능적 차이:
    • IPv4: 주소 재사용과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이 필요.
    • IPv6: 더 많은 주소 공간으로 주소 재사용 불필요, 효율적 라우팅, 멀티캐스트 지원.

Q. 다음 중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객체에 대하여 절차적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사용할 수있다.

② 객체지향 프로그램은 주로 인터프리터 번역 방식을 사용한다.

❸ 객체지향 프로그램은 코드의 재사용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④ 프로그램의 구조와 절차에 중점을 두고 작업을 진행한다.

  • 객체 지향 언어 종류:
    • C++, 자바 등이 있으며, 상속성, 캡슐화, 추상화, 다형성 등 특징을 지원한다.
    • 코드의 재사용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 참고 정리:
    • 객체 지향 언어와 절차적 프로그래밍(구조적 프로그래밍)으로 구분된다.
    • 절차적 프로그래밍(구조적 프로그래밍): 순차적인 처리를 중요시한다.
      • 예: Basic (대표적인 인터프리터 방식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
      • 자바는 인터프리터 방식이지만 컴파일 과정을 거친다.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OP)
    • 정의:
      • 객체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래밍 기법.
      • 객체라는 단위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에 가까운 방식으로 프로그래밍 한다.
      • 이해하기 쉽고, 조작하기 쉬운 프로그램 개발 가능.
      • 유지보수가 쉽고 재사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음.
    • 주요 특징:
      1. 상속성 (Inheritance):
        • 기존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상속받아 새로운 클래스를 생성.
        •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계층적인 관계를 표현.
      2. 캡슐화 (Encapsulation):
        • 객체의 데이터를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호.
        • 데이터와 메서드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 객체 내부의 상태를 숨기고 메서드를 통해 접근하도록 한다.
      3. 추상화 (Abstraction):
        • 복잡한 현실 세계의 개념을 단순화하여 모델링.
        • 중요한 정보만을 표현하고, 불필요한 세부 사항은 숨긴다.
      4. 다형성 (Polymorphism):
        • 동일한 인터페이스나 부모 클래스를 통해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능력.
        • 같은 이름의 메서드가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
    • 객체 지향 언어 예시:
      • C++: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대표적인 언어로, 다중 상속과 템플릿 기능을 지원.
      • 자바: 순수 객체 지향 언어로, 상속, 캡슐화, 추상화, 다형성의 특징을 지원하며, JVM을 통해 플랫폼 독립성을 제공.
    • 절차적 프로그래밍:
      • 정의: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절차로 구성.
      • 예시: Basic, C
        • Basic: 대표적인 인터프리터 방식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
        • C: 컴파일 방식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로,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주로 사용됨.
    • 차이점 요약: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중심,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 강조, 복잡한 시스템의 모델링에 적합.
      • 절차적 프로그래밍: 절차 중심, 순차적인 처리 강조, 단순한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에 적합.
    • 이와 같은 특징들을 이해함으로써,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절차적 프로그래밍의 장단점을 구별하고, 상황에 맞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선택할 수 있다.

Q. 다음 중 ASCII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3개의 Zone 비트와 4개의 Digit 비트로 하나의 문자를 표현한다.

②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하며, 128가지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❸ 2비트의 에러 검출 및 1비트의 에러 교정 비트를 포함한다.

④ 확장 ASCII 코드는 8비트를 사용하여 문자를 표현한다.

  • ③번 선택지는 해밍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해밍코드는 오류 검출뿐만 아니라 교정(정정)까지 가능한 코드이다.
  • ASCII 코드는 1비트 패리티 비트를 통해 오류를 검출할 수 있지만, 오류를 교정할 수는 없다.
  • 아스키(ASCII) 코드:
    • 표준 ASCII: 7비트로 구성되어 128개의 문자를 표현.
    • 확장 ASCII: 8비트로 구성되어 256개의 문자를 표현.
  • ASCII 코드와 오류 검출:
    • ASCII 코드는 1비트의 패리티 비트를 사용하여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 이 패리티 비트는 통신 과정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 하지만 ASCII 코드는 오류를 검출할 수 있을 뿐, 이를 교정(정정)할 수는 없다.
  • 해밍코드(Hamming Code):
    • 오류 검출 및 오류 교정(정정)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코드.
    • 1비트의 오류를 교정할 수 있는 자기 오류 정정 코드를 포함.
    •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탐지하고, 위치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다.
  • 해밍코드와 ASCII 코드는 오류 검출과 교정에 대한 기능이 다르며, 해밍코드는 특히 오류를 교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미지


Q. 다음 중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중앙처리장치를 설치하여 주기억장치나 주변장치들을 공유하여 신뢰성과 연산능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은?

① 시분할 처리 시스템(Time Sharing System)

②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Multi-Programming System)

③ 듀플렉스 시스템(Duplex System)

❹ 다중 처리 시스템(Multi-Processing System)

  • 시분할 처리 시스템 (Time Sharing System):
    • 정의: 한 대의 시스템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
    • 특징: 사용자들이 동시에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CPU 시간을 분할하여 할당.
  •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Multi-Programming System):
    • 정의: ‘한 대의 CPU’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하는 시스템.
    • 특징: 단일 CPU가 여러 프로그램을 번갈아 가며 실행하여 CPU 사용 효율을 극대화.
  • 다중 처리 시스템 (Multi-Processing System):
    • 정의: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CPU’를 설치하여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시스템.
    • 특징: 여러 개의 CPU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여 처리 속도와 성능을 향상.
  • 듀플렉스 시스템 (Duplex System):
    • 정의: 두 개의 동일한 시스템을 구동시켜 한쪽을 예비로 사용하는 방법.
    • 특징: 한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면 예비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지속적인 운영을 보장.
  •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과 다중 처리 시스템의 구별:
    •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Multi-Programming System):
      • CPU 수: 1개
      • 동작 방식: 여러 프로그램을 번갈아가며 실행. 하나의 CPU가 작업을 빠르게 전환하며 실행 대기열에서 준비된 프로그램을 처리.
    • 다중 처리 시스템 (Multi-Processing System):
      • CPU 수: 2개 이상
      • 동작 방식: 여러 CPU가 동시에 프로그램을 처리. 병렬 처리를 통해 작업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며, CPU 간의 협력으로 복잡한 작업을 동시에 수행.
      • 듀얼은 2개, 다중은 2개 이상
    • 이와 같이,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과 다중 처리 시스템은 사용되는 CPU 수와 프로그램 처리 방식에서 차이가 있으며,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은 단일 CPU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다중 처리 시스템은 여러 CPU를 통해 병렬 처리와 성능 향상을 목표로 한다.

Q. 다음 중 CPU(central processing unit, central/main processor)의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레지스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프로그램 카운터: 프로그램의 실행된 명령어의 개수를 계산한다.

② 명령 레지스터: 현재 실행 중인 명령을 기억한다.

③ 부호기: 해독된 명령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④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기억장치에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번지를 기억한다.

  • 프로그램 카운터 (Program Counter, PC):
    • 정의: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역할: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보관하며, 명령어가 실행되면 다음 명령어의 주소로 자동 증가.
  • 연산장치:
    • 가산기 (Adder):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 보수기 (Subtractor): 보수를 이용하여 뺄셈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특히, 2의 보수를 사용하여 뺄셈을 덧셈으로 처리.
    • 누산기 (Accumulator):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다음 연산의 입력으로 사용.
    • 데이터 레지스터 (Data Register):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
    • 상태 레지스터 (Status Register): 연산 결과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 제로, 캐리 등의 플래그를 포함. CPU의 상태 정보를 저장. 조건부 명령어의 실행을 위해 사용되며, 각 비트는 특정 상태 정보를 나타냄.
    • 인덱스 레지스터 (Index Register): 주소 계산에 사용되는 레지스터. 주로 배열이나 반복문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주소를 계산할 때 활용.
  • 제어장치:
    • 프로그램 카운터 (Program Counter, PC):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번지(주소)를 기억. 다음 명령어의 주소를 보관하고, 명령어 실행 후 증가.
    • 명령 레지스터 (Instruction Register):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내용을 기억.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저장하고 해독.
    • 해독기 (Decoder): 명령어를 해독하여 어떤 작업을 수행할지 결정.
    • 부호기 (Encoder):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 전달.
  • 이와 같이, 연산장치와 제어장치는 각각 데이터의 연산과 제어 신호 생성 및 명령어 처리를 담당하여 CPU의 기능을 구현한다.
1
2
3
4
5
6
MAR (Memory Address Register,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 기능: 주기억장치에서 읽기와 쓰기 연산을 수행할 메모리 주소를 저장한다.
- 역할: CPU가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해당 메모리 주소를 MAR에 저장하여 주기억장치와 통신한다.
MBR (Memory Buffer Register,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 기능: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데이터나 저장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 역할: 주기억장치와 CPU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한다. MBR은 데이터 버퍼 역할을 하여 주기억장치와의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Q. 다음 중 프린터에서 출력할 파일의 해상도를 조절하거나 스캐너를 이용해 스캔한 파일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해 쓰는 단위는?

① CPS(Character Per Second)

② BPS(Bits Per Second)

③ PPM(Paper Per Minute)

❹ DPI(Dots Per Inch)

  • 해상도 (Resolution)
    • 모니터 화면의 픽셀 수에 따라 결정되며, 출력 장치가 내용을 얼마나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단위. 색상 수와는 관련 없음.
    • 해상도란 쉽게 말해서 선명한 정도를 의미한다. 모니터 스크린에 표현된 그림, 글씨, 영상 따위가 얼마나 섬세하게 잘 묘사되고 있는지 그 정도를 말하는 것이다. 당연히 픽셀 수와 관련이 있으며 픽셀 수가 많을 수록 해상도가 높아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 DPI (Dots Per Inch):
    • 정의: 1인치 안에 몇 개의 점이 들어가는지를 나타내는 단위로, 출력물의 해상도를 의미.
    • 역할: 인쇄물이나 화면의 이미지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DPI 값이 높을수록 더 많은 점이 밀집하여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
  • 속도 및 해상도 단위:
    1. CPS (Characters Per Second):
      • 정의: 초당 인쇄되는 문자 수를 나타내는 단위.
      • 역할: 프린터나 타자기의 인쇄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됨.
    2. BPS (Bits Per Second):
      • 정의: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를 나타내는 단위.
      • 역할: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네트워크나 통신 장비의 성능을 평가할 때 중요.
    3. PPM (Pages Per Minute):
      • 정의: 분당 인쇄되는 페이지 수를 나타내는 단위.
      • 역할: 프린터의 인쇄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프린터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됨.
    4. DPI (Dots Per Inch):
      • 정의: 1인치에 표시할 수 있는 점의 수를 나타내는 해상도 단위.
      • 역할: 출력물의 해상도와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DPI 값이 높을수록 이미지가 더 선명하고 디테일이 풍부함.
  • 참고 정리
    • DPI는 주로 프린터와 스캐너,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를 설명하는데 사용됨. 인쇄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DPI 값이 필요.
    • CPS는 주로 구형 프린터나 타자기에서 많이 사용되며,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프린터의 초기 성능 평가 기준으로 중요.
    • BPS는 네트워크 장비나 모뎀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단위. 인터넷 속도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할 때 사용됨.
    • PPM은 현대 프린터의 인쇄 속도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준으로, 높은 PPM 값은 대량 인쇄 작업에서 효율성을 제공.

Q. 다음 중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BIOS는 메인보드 상에 위치한 EPROM, 혹은 플래시 메모리 칩에 저장되어 있다.

②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자동으로 가장 먼저 기동되며, 기본 입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③ CMOS 셋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 부팅 순서 등 일부 BIOS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❹ 주기억 장치의 접근 속도 개선을 위한 가상 메모리의 페이징 파일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 바이오스 (BIOS)
    • 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컴퓨터의 기본 입력, 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을 모아놓은 프로그램.
    • 기능:
      • POST (Power-On Self Test): 전원이 켜지면 컴퓨터를 점검하여 하드웨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 부팅 초기화: 사용 가능한 장치들을 초기화하여 운영체제가 시작될 때까지 부팅 과정을 이끈다.
      • 펌웨어: BIOS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형태인 펌웨어로, ROM에 저장되어 있어 ROM-BIOS라고도 한다.
    • CMOS 설정:
      • 시스템 날짜와 시간: 시스템의 현재 날짜와 시간을 설정.
      • 하드디스크 타입: 설치된 하드디스크의 타입과 설정을 정의.
      • 부팅 순서: 컴퓨터가 부팅할 때 참조하는 장치의 순서 설정.
      • 칩셋 설정: 마더보드의 칩셋 관련 설정.
      • 전원 관리: 컴퓨터의 전원 관리 옵션 설정.
      • PnP (Plug and Play): 자동 장치 인식 및 설정.
      • 시스템 암호: 컴퓨터 부팅 시 암호 설정.
      • Anti-virus: 부팅 바이러스 감지를 위한 설정.
  • 가상 메모리의 페이징 파일 크기 설정
    • 설정 경로:
      1. 제어판: 컴퓨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제어판을 연다.
      2. 시스템 및 보안: ‘시스템 및 보안’ 옵션을 선택.
      3. 시스템: ‘시스템’ 메뉴를 클릭.
      4. 고급 시스템 설정: 좌측 메뉴에서 ‘고급 시스템 설정’을 선택.
      5. 고급 탭: 고급 탭에서 ‘설정’ 버튼을 클릭.
      6. 가상 메모리: ‘고급’ 탭에서 ‘가상 메모리’ 설정을 찾는다.
      7. 변경: 가상 메모리 창에서 ‘변경’ 버튼을 클릭하여 페이징 파일 크기를 설정한다.
  • 주기억장치:
    • RAM (Random Access Memory):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며,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진다.
    • ROM (Read-Only Memory): 시스템의 기본적인 부팅 정보를 저장하며,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된다.
  • 플래시(Flash) 메모리는 비휘발성 기억장치로 주로 디지털 카메라나 MP3, 개인용 정보 단말기, USB 드라이브 등 휴대용 기기에서 대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Q. 다음 중 반도체를 이용한 컴퓨터 보조 기억 장치로 크기가 작고 충격에 강하며, 소음 발생이 없는 대용량 저장 장치는?

① HDD(Hard Disk Drive)

② DVD(Digital Versatile Disk)

❸ SSD(Solid State Drive)

④ CD-RW(Compact Disc Rewritable)

  1. HDD (Hard Disk Drive):
    • 특징: 저장 용량이 크고 데이터 접근 속도가 빠르지만 충격에 약하며, 개인용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보조 기억 장치.
  2. DVD (Digital Versatile Disc):
    • 특징: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저장 매체로, 화질과 음질이 뛰어나다.
    • 레이저: 650nm 파장의 적색 레이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읽고 쓴다.
  3. SSD (Solid State Drive):
    • 특징: 고속으로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며,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때문에 배드 섹터가 발생하지 않는다. 발열과 소음이 적고 전력 소모가 낮으며 외부 충격에 강하다.
  4. CD-ROM (Compact Disc Read-Only Memory):
    • 특징: 약 650MB의 대용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로, 제작 시 이미 내용을 기록하여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하다. - 추가 설명:
    • CD-RW: 여러 번 읽고 쓸 수 있는 재기록 가능한 CD 형식을 의미한다. - 기억하기 좋은 팁:
    • SSD: “S(small 작고) S(strong 강하다) D”로 외우면 좋다.

Q. 다음 중 Windows의 [시스템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① Windows가 제대로 시작되지 않는 문제를 식별하도록 도와주는 고급 도구이다.

❷ 시작 모드 선택에서 ‘선택 모드’는 기본 장치 및 서비스로만 Windows를 시작하여 발생된 문제를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③ 한 번에 하나씩 공용 서비스 및 시작 프로그램을 끈 상태에서 Windows를 재시작한 후 다시 켤 때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서비스가 문제의 원인임을 알 수 있다.

④ 부팅 옵션 중 ‘안전 부팅’의 ‘최소 설치’를 선택하면 중요한 시스템 서비스만 실행되는 안전 모드로 Windows를 시작하며, 네트워킹은 사용할 수 없다.

  • 진단모드(Diagnostic Mode):
    • 진단 모드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장치 및 서비스만을 로드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테스트하는 모드이다.
    • 특징:
      • 기본적인 장치 및 서비스만을 로드하여 최소한의 환경에서 시스템을 실행한다.
      • 시스템에 장애가 있을 때 디버깅이나 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된다.
      • 정상적인 부팅이 어렵거나 시스템이 불안정할 때 진단 모드를 선택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 시작모드 선택:
    • 정상모드(Normal Mode): 모든 장치 드라이버와 서비스를 로드하여 전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
    • 진단모드(Diagnostic Mode): 기본 장치 및 서비스만을 로드하여 최소한의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
    • 선택모드(Selective Mode): 시스템 서비스, 시작 항목, 원래의 부팅 항목을 선택적으로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드.
    • 이와 같은 모드 선택은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다.

Q. 다음 중 Windows의 [폴더 옵션] 창에서 설정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❶ 탐색 창, 미리 보기 창, 세부 정보 창의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② 숨김 파일이나 폴더의 표시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③ 폴더에서 시스템 파일을 검색할 때 색인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④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을 숨기도록 설정할 수있다.

  • 폴더 옵션은 파일이나 폴더의 보기 형식, 검색 방법 등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다.
  • ① Windows의 [파일 탐색기]-[보기] 탭-[창]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이 옵션은 파일 탐색기에서 창의 배치 및 보기 설정을 변경할 때 사용된다.
  • ②, ③, ④ [파일 탐색기]-[보기] 탭-[옵션] 또는 [폴더 옵션]에서 설정 및 지정할 수 있다.
    • 이 옵션들은 파일 탐색기에서 폴더 및 파일에 대한 다양한 환경 설정을 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 숨기기, 숨김 파일 보기, 특정 파일 유형의 동작 설정 등이 있다.
    • 각 설정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어 파일 및 폴더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Q. 다음 중 Windows의 백업과 복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① 특정한 날짜나 시간에 주기적으로 백업이 되도록 예약 할 수 있다.

② 백업에서 사용되는 파일의 확장자는 .bkf 이다.

③ 백업된 파일을 복원할 때 복원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❹ 직접 선택한 폴더에 있는 알려진 시스템 폴더나 파일도 백업할 수 있다.

  • 알려진 시스템 폴더의 파일과 알려진 프로그램 파일은 선택한 폴더에 있더라도 백업되지 않는다.
    • 알려진 시스템 폴더: Windows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핵심 파일이 있는 폴더이다. 이 폴더에 있는 파일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백업할 수 없으며, 시스템 복원과 관련된 별도의 절차를 통해 관리된다.
    • 알려진 프로그램 파일: 프로그램이 설치될 때 레지스트리 등에 정의된 파일들을 의미한다. 이 파일들도 일반적인 백업 도구를 사용하여 백업하기 어렵다.
  • ④ Windows 백업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데이터 파일에 대한 복사본을 만들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생성한 문서, 사진 등과 같은 개인 데이터에 대한 백업이며, 시스템 폴더나 시스템 파일의 백업은 포함되지 않는다.
  • ※ 시스템 복원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시스템 파일을 이전 시점으로 복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는 시스템 폴더나 파일이 복원될 수 있으며, 개인 파일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윈도우 레지스트리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2/64비트 버전과 윈도우 모바일 운영 체제의 설정과 선택 항목을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모든 하드웨어,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대부분의 비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사용자 PC 선호도 등에 대한 정보와 설정이 들어있다.

Q. 다음 중 Windows의 작업 표시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① 작업 표시줄의 위치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크기는 화면의 1/2까지만 늘릴 수 있다.

② 작업 표시줄에 있는 단추를 작은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③ 작업 표시줄을 자동으로 숨길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❹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작 단추, 검색 상자(검색 아이콘), 작업 보기 단추의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 작업표시줄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좌측 기준으로 ‘시작 단추 - 검색 상자 - 작업 보기 단추’가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작업 보기 단추’와 ‘검색 상자’는 필요에 따라 숨길 수 있지만, ‘시작 단추’는 숨길 수 없다.
  • 구성 요소 설명:
    • 시작 단추(Start Button):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주로 사용되는 시작 메뉴를 열기 위한 단추이다. 사용자는 여기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컴퓨터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 검색 상자(Search Box): 파일, 앱, 설정 등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검색 상자이다. Windows 10 이상에서는 Cortana와도 통합되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작업 보기 단추(Task View Button): 현재 열린 창을 관리하고 가상 데스크톱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단추이다. 다중 작업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 각각의 구성 요소는 사용자의 작업 스타일에 따라 숨기거나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표시줄을 사용자 맞춤 설정할 수 있다.

2과목 : 스프레드시트 일반


Q. 다음 중 자동 필터와 고급 필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자동 필터는 각 열에 입력된 데이터의 종류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 날짜, 숫자, 텍스트 필터가 모두 표시된다. 

② 고급 필터는 조건을 수식으로 작성할 수 있으며, 조건의 첫 셀은 반드시 필드명으로 입력해야 한다. 

③ 자동 필터에서 여러 필드에 조건을 설정한 경우 필드간은 OR 조건으로 처리되어 결과가 표시된다. 

❹ 고급 필터는 필터링 한 결과를 원하는 위치에 별도의 표로 생성할 수 있다.


Q. 다음 중 데이터 정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정렬할 수 있다. 

② 표 안에서 다른 열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선택한 한 열 내에서만 정렬하도록 할 수 있다. 

③ 정렬 기준으로 ‘셀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기본 정렬 순서는 ‘위에 표시’이다. 

❹ 행을 기준으로 정렬하려면 [정렬] 대화상자의 [옵션]에서 정렬 옵션의 방향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선택한다.


Q. 다음 중 시나리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를 만들 때에는 결과 셀을 반드시 지정해야 하지만, 시나리오 피벗 테이블 보고서를 만들 때에는 결과 셀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② 여러 시나리오를 비교하여 하나의 테이블로 요약하는 보고서를 만들 수 있다. 

③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를 생성하기 전에 변경 셀과 결과셀에 이름을 정의하면 셀 참조 주소 대신 정의된 이름이 보고서에 표시된다. 

④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는 자동으로 다시 갱신되지 않으므로 변경된 값을 요약 보고서에 표시하려면 새 요약 보고서를 만들어야 한다.


Q. 다음 중 셀 스타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셀 스타일은 글꼴과 글꼴 크기, 숫자 서식, 셀 테두리, 셀 음영 등의 정의된 서식의 집합으로 셀 서식을 일관성 있게 적용하는 경우 편리하다. 

② 기본 제공 셀 스타일을 수정하거나 복제하여 사용자 지정 셀 스타일을 직접 만들 수 있다. 

❸ 사용 중인 셀 스타일을 수정한 경우 해당 셀에는 셀 스타일을 다시 적용해야 수정한 서식이 반영된다.

④ 특정 셀을 다른 사람이 변경할 수 없도록 셀을 잠그는 셀 스타일을 사용할 수도 있다.


Q. 다음 중 피벗 테이블과 피벗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새 워크시트에 피벗 테이블을 생성하면 보고서 필터의 위치는 [A1] 셀, 행 레이블은 [A3] 셀에서 시작한다.

② 피벗 테이블과 연결된 피벗 차트가 있는 경우 피벗 테이블에서 [피벗테이블 도구]의 [모두 지우기] 명령을 사용하면 피벗 테이블과 피벗 차트의 필드, 서식 및 필터가 제거된다.

❸ 하위 데이터 집합에도 필터와 정렬을 적용하여 원하는 정보만 강조할 수 있으나 조건부 서식은 적용되지 않는다.

④ [피벗 테이블 옵션] 대화 상자에서 오류 값을 빈 셀로 표시하거나 빈 셀에 원하는 값을 지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Q. 다음 중 입력 데이터에 사용자 지정 표시 형식을 설정한 경우 그 표시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미지


Q. 다음 중 데이터가 입력된 셀에서 채우기 핸들을 드래그 하여 데이터를 채우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반적인 문자 데이터나 날짜 데이터는 그대로 복사되어 채워진다. 

❷ 1개의 숫자와 문자가 조합된 텍스트 데이터는 숫자만 1씩 증가하고 문자는 그대로 복사되어 채워진다. 

③ 숫자 데이터는 1씩 증가하면서 채워진다. 

④ 숫자가 입력된 두 셀을 블록 설정하여 채우기 핸들을 드래그하면 두 숫자가 반복하여 채워진다.


Q. 다음 중 셀 포인터의 이동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Alt] + [Page Down] 키를 눌러 현재 시트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있는 다음 시트로 이동한다. 

② 이름 상자에 셀 주소를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눌러 원하는 셀의 위치로 이동한다. 

③ [Ctrl] + [Home] 키를 눌러 [A1] 셀로 이동한다. 

④ [Home] 키를 눌러 해당 행의 A 열로 이동한다.


Q. 다음 중 아래 시트의 [A9] 셀에 수식 ‘=OFFSET(B3,-1,2)’을 입력한 경우 결과값은?

이미지

① 윤혜주

② 서울

③ 고양

❹ 박태훈


Q. 다음 중 [개발 도구] 탭의 [컨트롤] 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미지

① 컨트롤 종류에는 텍스트 상자, 목록 상자, 옵션 단추, 명령 단추 등이 있다.

② ActiveX 컨트롤은 양식 컨트롤 보다 다양한 이벤트에 반응할 수 있지만, 양식 컨트롤보다 호환성은 낮다.

❸ [디자인 모드] 상태에서는 양식 컨트롤과 ActiveX 컨트롤 모두 매크로 등 정해진 동작은 실행하지 않지만 컨트롤의 선택, 크기 조절, 이동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④ 양식 컨트롤의 ‘단추(양식 컨트롤)’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해서 추가하면 [매크로 지정] 대화상자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Q. 다음 중 아래의 프로시저가 실행된 후 [A1] 셀에 입력되는 값으로 옳은 것은?

이미지

① 10

❷ 11

③ 0

④ 55


Q. 다음 중 아래 시트에 대한 각 수식의 결과값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이미지

① =SMALL(A1:G1,{3})

② =AVERAGE(SMALL(A1:G1,{1;2;3;4;5}))

③ =LARGE(A1:G1,{5})

❹ =SMALL(A1:G1,COLUMN(D1))


Q. 아래 시트에서 주민등록번호의 여덟 번째 문자가 ‘1’ 또는 ‘3’이면 ‘남’, ‘2’ 또는 ‘4’이면 ‘여’로 성별 정보를 알 수 있다. 다음 중 성별을 계산하기 위한 [D2] 셀의 수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F2:F5] 영역은 숫자 데이터임)

이미지

① =IF(OR(MID(C2, 8, 1)=”2”, MID(C2, 8, 1)=”4”), “여”, “남”)

② =CHOOSE(VALUE(MID(C2, 8, 1)), “남”, “여”, “남”, “여”)

③ =VLOOKUP(VALUE(MID(C2, 8, 1)), $F$2:$G$5, 2, 0)

❹ =IF(MOD(VALUE(MID(C2, 8, 1)), 2)=0, “남”, “여”)


Q. 아래 시트에서 국적별 영화 장르의 편수를 계산하기 위해 [B12] 셀에 작성해야 할 배열수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미지

① {=SUM(($D$2:$D$9=$A12) * ($E$2:$E$9=B$11))}

② {=SUM(IF($D$2:$D$9=$A12, IF($E$2:$E$9=B$11, 1)))}

❸ {=COUNT(($D$2:$D$9=$A12) * ($E$2:$E$9=B$11))}

④ {=COUNT(IF(($D$2:$D$9=$A12) * ($E$2:$E$9=B$11), 1))}


Q. 다음 중 이름 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Ctrl] 키를 누르고 여러 개의 셀을 선택한 경우 마지막 선택한 셀 주소가 표시된다. 

② 셀이나 셀 범위에 이름을 정의해 놓은 경우 이름이 표시된다. 

❸ 차트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차트의 종류가 표시된다. 

④ 수식을 작성 중인 경우 최근 사용한 함수 목록이 표시된다.


Q. 다음 중 엑셀의 화면 확대/축소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문서의 확대/축소는 10%에서 400%까지 설정할 수있다.

❷ 설정한 확대/축소 배율은 통합 문서의 모든 시트에 자동으로 적용된다.

③ 화면의 확대/축소는 단지 화면에서 보이는 상태만을 확대/축소하는 것으로 인쇄 시 적용되지 않는다.

④ [Ctrl] 키를 누른 채 마우스의 스크롤을 위로 올리면 화면이 확대되고, 아래로 내리면 화면이 축소된다.


Q. 다음 중 인쇄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본적으로 워크시트의 눈금선은 인쇄되지 않으나 인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❷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시트] 탭에서 ‘간단하게 인쇄’를 선택하면 셀의 테두리를 포함하여 인쇄할 수 있다.

③ [인쇄 미리 보기 및 인쇄] 화면을 표시하는 단축키는 [Ctrl] + [F2] 이다.

④ [인쇄 미리 보기 및 인쇄]에서 ‘여백 표시’를 선택한 경우 마우스로 여백을 변경할 수 있다.


Q. 다음 중 차트 도구의 [데이터 선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차트 데이터 범위]에서 차트에 사용하는 데이터 전체의 범위를 수정할 수 있다.

② [행/열 전환]을 클릭하여 가로 (항목) 축의 데이터 계열과 범례 항목(계열)을 바꿀 수 있다.

❸ 범례에서 표시되는 데이터 계열의 순서를 바꿀 수 없다.

④ 데이터 범위 내에 숨겨진 행이나 열의 데이터도 차트에 표시할 수 있다.


Q. 다음 중 아래 데이터를 차트로 작성하여 사원별로 각 분기의 실적을 비교·분석하려는 경우 가장 비효율적인 차트는?

이미지

① 누적 세로 막대형 차트

② 표식이 있는 꺾은선형

❸ 원형 대 가로 막대형

④ 묶은 가로 막대형


Q. 다음 중 셀 영역을 선택한 후 상태 표시줄의 바로 가기 메뉴인 [상태 표시줄 사용자 지정]에서 선택할 수 있는 자동 계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선택한 영역 중 숫자 데이터가 입력된 셀의 수

❷ 선택한 영역 중 문자 데이터가 입력된 셀의 수

③ 선택한 영역 중 데이터가 입력된 셀의 수

④ 선택한 영역의 합계, 평균, 최소값, 최대값

3과목 : 데이터베이스 일반


Q. 다음 중 Access 파일에 암호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데이터베이스 압축 및 복구] 도구에서 파일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❷ 데이터베이스를 단독 사용 모드(단독으로 열기)로 열어야 파일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③ 데이터베이스를 MDE 형식으로 저장한 후 파일을 열어야 파일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④ [Access 옵션] 창의 보안 센터에서 파일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 ② 암호 설정 방법
    1. 액세스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2. [파일] 메뉴에서 [열기]를 클릭하고, 암호를 설정하려는 액세스 파일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단독으로 열기]를 클릭하여 파일을 연다.
    3. 파일이 열린 후에는 [파일] 메뉴에서 [정보]를 클릭한다. [데이터베이스 암호 설정]을 선택하여 암호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을 찾는다.
      • 이 과정을 통해 Microsoft Access에서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Q. 다음 중 데이터 보안 및 회복, 무결성, 병행 수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 데이터베이스 언어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데이터 관리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는 언어는?

❶ 데이터 제어어(DCL)

② 데이터 부속어(DSL)

③ 데이터 정의어(DDL)

④ 데이터 조작어(DML)

  1. 데이터 정의어(DDL)
    • 목적: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거나 수정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
    • 주요 기능: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를 정의함.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사용함.
    • 예시 명령어: CREATE(생성), ALTER(수정), DROP(삭제).
  2. 데이터 조작어(DML)
    • 목적: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
    • 주요 기능: 데이터의 검색, 삽입, 삭제, 변경 등을 수행함.
    •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가 사용함.
    • 예시 명령어: SELECT(검색), INSERT(삽입), UPDATE(업데이트), DELETE(삭제).
  3. 데이터 제어어(DCL)
    • 목적: 데이터 보안, 데이터 무결성 유지, 데이터 회복, 병행 수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
    • 주요 기능: 불법적인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고,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를 수행함.
    • 사용자: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사용.
    • 예시 명령어:
      1. GRANT
        • 목적: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 객체(테이블, 뷰 등)에 대한 권한을 부여함.
        • 예시: 사용자에게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등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음.
        • 사용법: GRANT SELECT ON table_name TO user_name;
      2. REVOKE
        • 목적: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대한 권한을 회수함.
        • 예시: 특정 사용자로부터 SELECT 권한을 회수할 수 있음.
        • 사용법: REVOKE SELECT ON table_name FROM user_name;
      3. COMMIT
        • 목적: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의 변경 사항을 영구적으로 저장함.
        • 예시: 트랜잭션의 모든 변경 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할 때 사용됨.
        • 사용법: COMMIT;
      4. ROLLBACK
        • 목적: 트랜잭션의 변경 사항을 취소하고 이전 상태로 되돌림.
        • 예시: 트랜잭션 실행 중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변경 사항을 롤백할 수 있음.
        • 사용법: ROLLBACK;
      5. SAVEPOINT
        • 목적: 트랜잭션 내에서 저장점을 설정하여 일부 변경 사항을 롤백할 때 사용함.
        • 예시: 특정 지점에서 SAVEPOINT를 설정하고, 이후 변경 사항을 롤백할 수 있음.
        • 사용법: SAVEPOINT savepoint_name;
      6. SET TRANSACTION
        • 목적: 트랜잭션의 특성을 설정함.
        • 예시: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ISOLATION LEVEL) 설정 등에 사용됨.
        • 사용법: SET TRANSACTION ISOLATION LEVEL SERIALIZABLE;
  4. 데이터 부속어(DSL)
    • 설명: 호스트 프로그램 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조작어(명령어)를 의미함.
    • 특징: DSL은 특정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기 위해 사용됨. - 이와 같이 각 데이터베이스 언어는 서로 다른 목적과 사용자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Q. 다음 중 SQL 질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ORDER BY절 사용 시 정렬방식을 별도로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 값은 ‘DESC’로 적용된다.

② GROUP BY절은 특정 필드를 기준으로 그룹화 하여 검색할 때 사용한다.

③ FROM절에는 테이블 또는 쿼리 이름을 지정하며, WHERE절에는 조건을 지정한다.

④ SELECT DISTINCT문을 사용하면 중복 레코드를 제거할 수 있다.

  • ORDER BY 절은 SQL에서 사용되며 데이터를 정렬할 때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오름차순(ASC)으로 정렬되며, 내림차순(DESC)으로 정렬할 수도 있다.

Q. 다음 중 보고서의 그룹화 및 정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그룹’은 머리글과 같은 소계 및 요약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레코드의 모음으로 그룹 머리글, 세부 레코드 및 그룹 바닥글로 구성된다.

② 그룹화 할 필드가 날짜 데이터이면 전체 값(기본), 일, 주, 월, 분기, 연도 중 선택한 기준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③ Sum 함수를 사용하는 계산 컨트롤을 그룹 머리글에 추가하면 현재 그룹에 대한 합계를 표시할 수 있다.

❹ 필드나 식을 기준으로 최대 5단계까지 그룹화 할 수 있으며, 같은 필드나 식은 한 번씩만 그룹화 할 수 있다.

  • SQL에서의 그룹화(Grouping)
    • 그룹화는 SQL 쿼리에서 특정 필드나 식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으로 묶는 작업을 말한다. 주로 집계 함수와 함께 사용되어 그룹 단위로 집계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 그룹화(Grouping) 기능:
        • SQL에서는 GROUP BY 절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그룹화할 수 있다.
        • GROUP BY 절은 일반적으로 집계 함수(예: SUM, AVG, COUNT 등)와 함께 사용되며, 집계할 기준이 되는 필드나 식을 지정한다.
      2. 그룹화의 단계 제한:
        • SQL에서는 하나의 GROUP BY 절에서 최대 10단계까지 그룹화를 할 수 있다.

          1
          2
          3
          
            SELECT field1, field2, ..., aggregate_function(field)
            FROM table_name
            GROUP BY field1, field2, ...
          
      3. 여러 필드나 식에 대한 연속적인 그룹화:
        • 동일한 필드나 식에 대해서도 계속해서 그룹화할 수 있다. sales 테이블에서 categorysubcategory 필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각 그룹에 대해 quantity의 합계를 구한다.

          1
          2
          3
          4
          
            SELECT category, subcategory, SUM(quantity)
            FROM sales
            GROUP BY category, subcategory;
                          
          

Q. 다음 중 보고서 작업 시 필드 목록 창에서 선택한 필드를 본문 영역에 추가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컨트롤은?

① 단추

❷ 텍스트 상자

③ 하이퍼링크

④ 언바운드 개체 틀

  • 보고서 디자인 상태에서 필드를 추가하는 방법
    1. 보고서 디자인 상태:
      • 보고서를 디자인할 때, 보고서 디자인 상태에서는 보고서의 레이아웃, 포맷, 데이터 소스 등을 설정할 수 있다.
    2. 필드 추가 방법:
      • 보고서 디자인 상태에서 [디자인] 탭을 선택.
      • [기존 필드 추가]를 클릭.
      • 이후 나타나는 [필드 목록]에는 보고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나 데이터 소스에 정의된 필드들이 표시된다.
      • 원하는 필드를 선택하면, 해당 필드는 보고서 디자인에 추가된다.
    3. 텍스트 상자 컨트롤로의 추가:
      • 선택한 필드는 보고서 디자인에 추가될 때 기본적으로 ‘텍스트 상자’ 컨트롤로 생성된다.
      • 텍스트 상자 컨트롤은 보고서에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보고서에서 해당 필드의 데이터를 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보고서 디자인 상태에서 데이터 필드를 선택하고 텍스트 상자를 통해 해당 데이터를 보고서에 쉽게 통합할 수 있다.

Q. 다음 중 보고서의 보기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보고서 보기]는 출력되는 보고서를 화면 출력용으로 보여주며 페이지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② [디자인 보기]에서는 보고서에 삽입된 컨트롤의 속성, 맞춤, 위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③ [레이아웃 보기]는 출력될 보고서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며 컨트롤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④ [인쇄 미리 보기]에서는 종이에 출력되는 모양을 표시 하며 인쇄를 위한 페이지 설정이 용이하다.

  1. 보고서 보기:
    • 출력될 보고서를 미리보는 기능이다.
    • 페이지 구분 없이 한 화면에 보고서를 모두 표시한다.
    • 인쇄 미리 보기와 비슷하지만 페이지를 구분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다.
    • 보고서의 실제 데이터나 레이아웃을 수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작성된 이벤트 프로시저를 확인할 수 있다.
  2. 레이아웃 보기:
    • 보고서가 실제 출력될 때의 레이아웃을 미리 확인하는 기능이다.
    • 페이지 구분 없이 한 화면에 보고서의 레이아웃과 실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한다.
    • 컨트롤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하거나 그룹 수준 및 합계를 추가 및 수정할 수 있다.
    • 하지만 실제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으며, 디자인적인 수정만 가능하다.
  3. 디자인 보기:
    • 보고서의 디자인을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이다.
    • 컨트롤 도구를 이용하여 보고서의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만들거나 수정할 수 있다.
    • 실제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으며, 디자인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다.
  4. 인쇄 미리 보기:
    • 보고서가 종이에 출력될 때의 모양과 페이지 구분을 미리 확인하는 기능이다.
    • 페이지를 구분하여 보고서를 미리 볼 수 있으며, 페이지 설정 및 내보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 정확한 데이터가 보고서에 어떻게 표시될지 미리 확인할 수 있다.
  • ① “보고서 보기”와 “레이아웃 보기”는 페이지 구분 없이 한 화면에 표시하고, ‘인쇄 미리 보기’는 페이지 구분하여 표시한다.
  • “레이아웃 보기”: 페이지 구분 없이 한 화면에 보고서를 표시. 실제 보고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열 너비 조정 및 정렬, 그룹 수준 및 합계 추가, (열) 삭제, 필터, 정렬, 속성 설정 가능하지만 데이터 변경은 불가 (16/03/05). ※ 보고서는 4가지 형태 모두 데이터 변경 불가.
  • “보고서 보기”: 페이지 구분 없이 한 화면에 보고서를 표시. 작성된 이벤트 프로시저 확인 가능
  • “인쇄 미리 보기”: 페이지 구분하여 표시. 페이지 설정, 내보내기 가능.

  • [보고서보기] : 출력될 보고서를 미리보는 기능으로 화면 출력용이다. 인쇄 미리 보기와 비슷하지만 페이지 구분 없이 보고서를 모두 표시한다.
  • [레이아웃 보기] : 보고서보기와 디자인보기를 혼합한 형태로, 보고서로 출력될 실제 데이터와 보고서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기능이다. 데이터를 보면서 컨트롤의 크기 및 위치, 그룹 수준 및 합계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 [디자인보기] : 컨트롤 도구를 이용해 보고서를 만들거나 수정 가능한 형태이며, 실제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는다.
  • [인쇄 미리보기] : 종이에 출력되는 모양 전체를 미리 볼 수 있고, 페이지 구분을 한다. 보고서에 표시될 정확한 데이터를 확인하려면 인쇄 미리보기 기능을 이용해야 한다.

Q. 다음 중 아래 보고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미지

❶ ’모델명’ 필드를 기준으로 그룹이 설정되어 있다.

② ‘모델명’ 필드에는 ‘중복 내용 숨기기’ 속성을 ‘예’로 설정하였다.

③ 지점별 소계가 표시된 텍스트 상자는 그룹 바닥글에 삽입하였다.

④ 순번은 컨트롤 원본을 ‘=1’ 로 입력한 후 ‘누적 합계’ 속성을 ‘그룹’으로 설정하였다.

  • ‘대리점명’을 기준으로 그룹화

Q. 다음 중 아래 <학생> 테이블에 대한 SQL문의 실행 결과로 옳은 것은?

이미지

1
2
3
SELECT AVG([나이]) FROM 학생
WHERE 학년="SN" GROUP BY 전공
HAVING COUNT(*) >= 2;

① 21

② 22

③ 23

❹ 24

  • 학년이 SN이고 전공이 같은 그룹 중에서 학생이 2명 이상인 경우에 대해 각 그룹의 평균 나이를 계산하여 출력

Q. 다음 중 선택 쿼리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패턴과 일치하는 데이터를 찾고자 할 때 사용되는 연산자는?

① Match

② Some

❸ Like

④ Any

  • LIKE 연산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문자열 패턴을 검색할 때 사용되는 연산자이다. 주어진 필드 값이 특정 패턴과 일치하는 레코드를 검색할 수 있다.

    1
    
      WHERE 필드 또는 필드를 나타내는  LIKE '문자패턴'
    
  • MATCH 연산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범위 내에서 원하는 데이터의 열 또는 행의 위치를 찾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ATCH 연산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나 검색 엔진에서 Full-text 검색에서 주로 활용된다.
  • MATCH 연산자는 다양한 쿼리에서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1. Full-text 검색: MATCH AGAINST 구문을 사용하여 전체 텍스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텍스트를 빠르게 검색하는 데 유용하다.

      1
      
       SELECT * FROM articles WHERE MATCH (title, content) AGAINST ('database');
      

      이 쿼리는 “articles” 테이블에서 “title”과 “content” 필드에서 “database”라는 키워드가 포함된 모든 레코드를 검색한다.

    2. 특정 데이터셋 내에서 일치하는 항목 찾기: 특정 데이터셋 내에서 원하는 데이터의 열이나 행을 찾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정확한 문법은 데이터베이스나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MATCH 연산자는 다양한 쿼리와 함께 사용되어 데이터 검색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FULLTEXT 인덱스가 설정되어야 하며, 데이터베이스 종류에 따라 지원 여부와 사용 방법이 다를 수 있다.

Q. 다음 중 아래 SQL문으로 생성된 테이블에서의 레코드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고객과 계좌 간의 관계는 1:M이다.)

이미지

① <고객> 테이블에서 '고객ID' 필드는 동일한 값을 입력할 수 없다.

② <계좌> 테이블에서 '계좌번호' 필드는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③ <고객> 테이블에서 '연락번호' 필드는 원하는 값으로 수정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❹ <계좌> 테이블에서 '고객ID' 필드는 동일한 값을 입력할 수 없다.

  • PRIMARY KEY(기본키)는 특정 테이블 내에서 각 레코드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 기본키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 고유성: 기본키는 테이블 내에서 각 레코드를 고유하게 식별한다. 따라서 같은 값을 가진 두 개 이상의 레코드를 가질 수 없다.
    • 널 값 허용 불가: 기본키는 널 값을 가질 수 없다. 즉, 모든 레코드는 기본키 필드에 반드시 값을 가져야 한다.
    • 변경 가능: 기본키의 값은 일반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기본키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 FOREIGN KEY(외래키)는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와 관계를 맺는 특별한 종류의 키다. 외래키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 다른 테이블과의 관계: 외래키는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와 일치하거나, 널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테이블 간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 중복 값 허용: 외래키는 동일한 값을 여러 번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명의 고객이 여러 개의 계좌를 가질 수 있는 관계에서는 계좌 테이블의 외래키인 고객ID가 여러 계좌 레코드에서 반복될 수 있다.
    • 무결성 제약 조건: 외래키는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래키 제약 조건을 통해 다른 테이블의 유효한 값만 참조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 문제에서 제시된 예시에서는 ‘고객’ 테이블의 ‘고객ID’가 PRIMARY KEY로 설정되어 있어 각 고객을 고유하게 식별합니다. 반면에 ‘계좌’ 테이블의 ‘고객ID’는 FOREIGN KEY로 설정되어 있어, 여러 계좌가 동일한 고객ID를 가질 수 있다.

Q. 다음 중 테이블에서 입력 마스크를 “LA09?”로 설정한 경우 입력할 수 없는 값은?

❶ AA111

② A11

③ AA11

④ A111A

  • 물음표 자리에 숫자가 들어간 1번 패턴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L: 영문자와 한글만 입력 가능 (입력 필수)
    2. A: 영문자, 숫자, 한글만 입력 가능 (입력 필수)
    3. 0: 0부터 9까지의 숫자만 입력 가능, 더하기와 빼기 기호 사용 불가 (입력 필수)
    4. 9: 숫자나 공백 입력 가능하나, 공백은 저장되지 않음, 더하기와 빼기 기호 사용 불가 (선택 입력)
    5. ?: 영문자와 한글만 입력 가능 (선택 입력)
  • 필수 입력:
    • 영문, 한글L
    • 영문, 한글, 숫자A
    • 모든 문자, 공백&
    • 숫자 (기호 불가): 0
  • 선택 입력:
    • 영문, 한글?
    • 영문, 한글, 숫자a
    • 모든 문자, 공백c
    • 숫자 (기호 불가): 9
  • 특수 규칙:
    • 모두 대문자로>(왼쪽을 기준으로 크다 표시)
    • 모두 소문자로<(왼쪽을 기준으로 작다 표시)
    • #: 선택, 숫자/공백 가능, 덧셈/뺄셈 기호 가능
1
2
3
4
LA&0 :필수
?ac9 :선택
영문,한글/영문,한글,숫자/모든문자,공백/숫자
단, #은 숫자 공백 및 (+ -) 입력 가능

Q. 다음 중 아래 <고객>과 <구매리스트> 테이블 관계에 참조 무결성이 항상 유지되도록 설정할 수 없는 경우는?

이미지

① <고객> 테이블의 '고객번호' 필드 값이 <구매리스트> 테이블의 '고객번호' 필드에 없는 경우

② <고객> 테이블의 '고객번호' 필드 값이 <구매리스트> 테이블의 '고객번호' 필드에 하나만 있는 경우

❸ <구매리스트> 테이블의 '고객번호' 필드 값이 <고객> 테이블의 '고객번호' 필드에 없는 경우

④ <고객> 테이블의 '고객번호' 필드 값이 <구매리스트> 테이블의 '고객번호' 필드에 두 개 이상 있는 경우

  • 외래키 값이 기본키 안에 없는 경우: 외래키는 참조할 수 있는 기본키 값을 가져야 하므로, 기본키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값은 참조할 수 없다.

Q. 다음 중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텍스트 파일을 가져와 기존 테이블의 레코드로 추가하려는 경우 기본 키에 해당하는 필드의 값들이 고유한 값이 되도록 데이터를 수정하며 가져올 수 있다.

② Excel 워크시트에서 정의된 이름의 영역을 Access의 새 테이블이나 기존 테이블에 데이터 복사본으로 만들 수있다.

③ Access에서는 한 테이블에 256개 이상의 필드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원본 데이터는 열의 개수가 255개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④ Excel 파일을 가져오는 경우 한 번에 하나의 워크시트만 가져올 수 있으므로 여러 워크시트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려면 각 워크시트에 대해 가져오기 명령을 반복해야 한다.

  • 수정하며 가져올 수 없다. 외부의 데이터를 가져오더라도 원본 데이터는 변경되지않으며, 가져온 데이터를 변경해도 원본데이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수정하며 가져올 수 없다는 것은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통합할 때, 가져온 데이터를 수정하더라도 원본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원본 데이터와 가져온 데이터가 독립적으로 관리되며, 한쪽의 변경이 다른 쪽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1. 원본 데이터의 수정 불가능: 가져온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본 데이터를 직접 수정하는 대신 조회하거나 통합할 수 있다. 원본 데이터는 가져오기 전 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이나 보고서 작성 등에 활용될 수 있다.
    2. 가져온 데이터의 독립성: 가져온 데이터는 수정 가능하다. 사용자는 가져온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수정하거나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원본 데이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직 가져온 데이터 자체에만 적용된다.

Q. 다음 중 위쪽 구역에 데이터시트를 표시하는 열 형식의 폼을 만들고, 아래쪽 구역에 선택한 레코드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시트 형식의 폼을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도구는?

① 폼

❷ 폼 분할

③ 여러 항목

④ 폼 디자인

  • ① 폼: 열 형식의 폼이 작성되며, 관계가 설정된 테이블이 있을 경우 하단에 데이터시트 보기 형태로 표시됨.
  • ② 폼 분할: 하나의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단에는 열 형식으로, 하단에는 데이터시트 형식으로 2개의 폼이 한 화면에 작성됨. 폼을 만들면 기본적으로 레이아웃 보기 형태로 표시되므로 컨트롤의 크기 조정 및 이동, 필드 추가가 가능함.
  • ③ 여러 항목: 테이블 형식의 폼이 작성됨.
  • 폼 분할은 하나의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을 상단에는 열 형식으로, 하단에는 데이터시트 형식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한 화면에 두 개의 폼을 작성할 수 있다. 보통 폼을 만들면 기본적으로 레이아웃 보기 형태로 표시되며, 이 상태에서는 컨트롤의 크기 조정, 위치 이동, 필드 추가 등이 가능하다.
  • 열 형식의 폼은 폼의 상단 부분에 설정된 데이터를 열 단위로 표시한다. 이는 보통 단일 테이블이나 간단한 데이터 구조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 반면, 데이터시트 형식의 폼은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표시하며, 보통 많은 항목을 한 화면에 나열할 때 유용하다.
  • “여러 항목”이라고 설명된 폼은 보통 테이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데이터 항목을 목록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이는 데이터의 구조가 복잡하거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때 유용하다.

Q. 다음 중 이벤트 프로시저에서 쿼리를 실행 모드로 여는 명령은?

❶ DoCmd.OpenQuery

② DoCmd.SetQuery

③ DoCmd.QueryView

④ DoCmd.QueryTable

  • DoCmd 객체는 Access에서 다양한 매크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객체이다. 아래는 각 명령의 사용 예이다:
    1. DoCmd.OpenTable: 지정된 테이블을 연다.
      • 예시: DoCmd.OpenTable "Employees" ‘Employees’라는 테이블을 열어 데이터를 볼 수 있다.
    2. DoCmd.OpenQuery: 지정된 쿼리를 실행한다.
      • 예시: DoCmd.OpenQuery "EmployeeQuery" ‘EmployeeQuery’라는 쿼리를 실행하여 쿼리 결과를 보여준다.
    3. DoCmd.OpenForm: 지정된 폼을 연다.
      • 예시: DoCmd.OpenForm "EmployeeForm" ‘EmployeeForm’이라는 폼을 열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4. DoCmd.OpenReport: 지정된 보고서를 연다.
      • 예시: DoCmd.OpenReport "EmployeeReport" ‘EmployeeReport’라는 보고서를 열어 데이터를 인쇄하거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 이 명령들은 Access 매크로에서 자주 사용되며, 각각 특정 객체(테이블, 쿼리, 폼, 보고서)를 여는 데 사용되며,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자동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유용하다.

Q. 다음 중 폼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폼 머리글은 인쇄할 때 모든 페이지의 상단에 매번 표시된다.

② 하위 폼은 폼 안에 있는 또 하나의 폼을 의미한다.

③ 폼 바닥글은 폼 요약 정보 등과 같이 각 레코드에 동일하게 표시될 정보가 입력되는 구역이다.

④ 본문은 사용할 실제 내용을 입력하는 구역으로 폼 보기 형식에 따라 하나의 레코드만 표시하거나 여러 개의 레코드를 표시한다.

  • 폼 머리글:
    • 폼 제목처럼 정보가 각 레코드에 동일하게 표시되는 구역이다.
    • 인쇄 미리 보기에서는 첫 페이지 상단에 한 번만 표시된다.
    • 주로 폼의 제목이나 설명을 넣는 부분으로, 모든 레코드에 동일하게 나타난다. 인쇄할 때는 첫 페이지 상단에 한 번만 나타나므로 주로 폼의 식별자나 전체 설명을 넣는 데 사용된다.
    • 폼의 시작 부분에 표시되는 영역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조회할 때 레코드 간에 변하지 않는 정보를 보여주는 데 적합하다.
    • 예시: 폼 제목 (모든 레코드에 동일하게 표시됨)
  • 페이지 머리글:
    • 인쇄할 때 모든 페이지의 상단에 매번 표시되는 구역이다.
    • 각 페이지의 상단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으로, 페이지 번호나 반복적으로 보여야 할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 페이지 머리글은 폼이나 보고서를 인쇄할 때 각 페이지의 상단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영역으로, 페이지 번호나 인쇄 날짜 등 반복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보여주는 데 적합하다.
    • 예시: 페이지 번호회사 로고 (모든 페이지 상단에 표시됨)

Q. 다음 중 폼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여러 개의 컨트롤을 선택하여 자동 정렬할 수 있다.

❷ 컨트롤의 탭 순서는 자동으로 화면 위에서 아래로 설정된다.

③ 사각형, 선 등의 도형 컨트롤을 삽입할 수 있다.

④ 컨트롤 마법사를 사용하여 폼을 닫는 매크로를 실행시키는 단추를 만들 수 있다.

  • 컨트롤의 탭 순서는 기본적으로 컨트롤을 작성한 순서대로 설정된다.
    • 탭 순서를 적절히 설정하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보드로 폼을 탐색할 때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레이블 컨트롤에는 탭 순서를 설정할 수 없다.
    • 레이블 컨트롤은 탭 순서에서 제외된다. 이는 레이블이 보통 텍스트만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 탭 순서 설정 방법:
    • 기본 설정: 컨트롤을 작성한 순서대로 탭 순서가 설정된다.
    • 탭 순서 대화상자: 탭 순서 대화상자에서 <자동 순서=""> 단추를 클릭하면 폼이나 보고서에 삽입된 컨트롤의 위치를 기준으로 위에서 아래,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탭 순서가 자동으로 설정된다.

Q. 다음 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조인(JO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쿼리에 여러 테이블을 포함할 때는 조인을 사용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② 내부 조인은 조인되는 두 테이블에서 조인하는 필드가 일치하는 행만을 반환하려는 경우에 사용한다.

③ 외부 조인은 조인되는 두 테이블에서 공통 값이 없는 데이터를 포함할지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❹ 조인에 사용되는 기준 필드의 데이터 형식은 다르거나 호환되지 않아도 가능하다.

  • 조인에 사용되는 기준 필드의 데이터 형식은 반드시 ‘동일’하거나 ‘호환’되어야 한다. 만약 데이터 형식이 일치하지 않거나 호환되지 않는 경우, 조인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 조인(JOIN)이란 ‘2개 이상의 테이블’에 나누어 저장된 정보를 1개의 테이블처럼 사용하려고 연결 방법을 정의하는 것이다. 조인은 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조회할 때 사용된다.
  • 조인의 주요 특징:
    • 기준 필드: 조인에 사용되는 기준 필드의 데이터 형식은 ‘동일’하거나 ‘호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숫자형 데이터와 문자형 데이터는 조인할 수 없다.
    • 종류:
      • 내부 조인 (INNER JOIN): 두 테이블에서 공통된 데이터만 조회한다.
      • 외부 조인 (OUTER JOIN):
        • LEFT JOIN: 왼쪽 테이블의 모든 행과 오른쪽 테이블의 일치하는 행을 조회한다.
        • RIGHT JOIN: 오른쪽 테이블의 모든 행과 왼쪽 테이블의 일치하는 행을 조회한다.
        • FULL JOIN: 양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조회한다.
      • 교차 조인 (CROSS JOIN): 두 테이블의 모든 조합을 조회한다.
    • 성능: 조인은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때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효율적인 인덱스를 사용하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조건: 조인 조건을 WHERE 절이나 ON 절에 명시하여 사용한다.
  • INNER JOIN

    1
    2
    3
    4
    5
    
      SELECT A.*, B.*
      FROM TableA A
      INNER JOIN TableB B
      ON A.id = B.id;
        
    
    • 위 쿼리는 TableATableB에서 id가 일치하는 행들을 조회한다.
  • LEFT JOIN

    1
    2
    3
    4
    5
    
      SELECT A.*, B.*
      FROM TableA A
      LEFT JOIN TableB B
      ON A.id = B.id;
        
    
    • 위 쿼리는 TableA의 모든 행과 TableB의 일치하는 행을 조회한다. TableB에 일치하는 행이 없는 경우, NULL 값으로 채워진다.

Q. 다음 중 폼 바닥글의 텍스트 상자의 컨트롤 원본으로 <사원> 테이블에서 직급이 '부장'인 레코드들의 급여 평균을 구하는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

❶ =DAVG(“[급여]”, “[사원]”, “[직급]=’부장’”)

② =DAVG(“[사원]”, “[급여]”, “[직급]=’부장’”)

③ =AVG(“[급여]”, “[사원]”, “[직급]=’부장’”)

④ =AVG(“[사원]”, “[급여]”, “[직급]=’부장’”)

  • 앞에 ‘D’가 붙은 함수들은 조건이 필수인 함수들이다. 문제에서 ‘직급 = 부장’이라는 조건을 걸어놓았기 때문에 DAVG가 맞다. D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된다.

    1
    
      D함수("필드", "테이블", "조건")
    
    • DAVG 함수: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의 특정 필드 값의 평균을 계산한다.
    • DSUM 함수: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의 특정 필드 값의 합계를 계산한다.
    • DCOUNT 함수: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의 개수를 계산한다.
    1
    2
    
      DAVG("Salary", "Employees", "JobTitle = 'Manager'")
        
    
    • 이 함수는 ‘Employees’ 테이블에서 ‘JobTitle’이 ‘Manager’인 레코드들의 ‘Salary’ 필드 값의 평균을 구한다.

Q. 다음 중 액세스의 매크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② 매크로 함수 또는 매크로 함수 집합으로 구성되며, 각 매크로 함수의 수행 방식을 제어하는 인수를 추가할 수 있다. 

③ 매크로를 이용하여 폼을 열고 닫거나 메시지 박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❹ 매크로는 주로 컨트롤의 이벤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며, 폼 개체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매크로는 반복적인 작업을 하나의 명령어로 지정하여 사용하는 기능으로, 간편함을 위해 만들어진 기능이다.
  • 매크로는 작업을 자동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매크로 함수나 매크로 함수 집합을 의미한다.
  • 매크로는 테이블, 쿼리, 폼, 보고서 등 액세스의 각 개체들을 효율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게 한다.
  • 매크로는 폼 개체뿐만 아니라 보고서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컨트롤의 이벤트에 연결하여 사용된다.


참고 자료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